[스크랩] 새로운 냉매 (*3편 ) 과열도 계산및 과냉도에 대한 계산 방법의 차잇점.
*** 아세요 ?
* 새로나온 R-400계통의 대체냉매는 종전에 쓰이던 CFC/HCFC냉매와 다르게 주어진 압력에 두가지 서로 다른 기화온도및 응축온도를 보여 주기도 하기에/Temperature Glide, 새로운 냉매 과열도/과냉도 계산은 아랫 그림에 나오는 Bubble Point/과냉도계산, 그리고 Dew Point/과열도 계산 하는데 사용하기로 합니다.
(* 새로운 냉매의 비공비혼합물 특성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던 용어에 반대방향으로 이해하여야 합니다 )
* Bubble Point:
○ 버블포인트란 주어진 온도에 과포화상태의 냉매액체가 끓기 시작/기화하면서 처음으로 기체가 버블로 모양을 바꾸기 시작하는 포인트를 이야기하며 이러한 현상은 두가지 혹은 세가지 냉매를 섞어 제조한 새로운 대체냉매/R-400's 에서 일어나는현상을 이야기 하며 과냉도계산/Subcooling할때 사용하기로 합니다.
* Dew Point:
○ 듀포인트/이슬맺힘 현상이란 주어진 온도에 과포화상태의 기체가 응축/condenser되기 시작하는 포인트를 이야기 하며 항상 새로운 냉매/대체냉매/R-400's의 과열도 계산시에 사용하기로 합니다.
* 위에 올려드리는 압력/온도챠트중 R-407C를 찾아 보면 주어진 압력/120 psig에 Dew point 온도와 Bubble Point/ 도표상에 Dew point/ 71도화씨/21.7도 섭씨, 그리고 Bubble Point로는 61도화씨/16.1도섭씨, 즉 10도화씨/5.6도섭씨의 편차를 보여 주기에 과열도 계산시에는 챠트에서 보여주는 Dew Point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 위에 올려드리는 P/H Chart (* 압력/엔털피 온도 챠트 ) 사용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냉매의 흐름을 보여 주며 종전에 사용하던 혼합냉매는 두가지 이상의 냉매를 정확하게 무게비율로 섞어 사용하더라도 어떠한 주어진 압력이나 온도에 한가지 냉매와 같은 일정한 압력/온도를/Azeotropic Refrigerant유지하지만 냉매에 섞여 있는 카본이나 염화성분이 오존층 파괴/대기 온도상승/자외선증가등으로 해를 주기에 미환경청에서는 2020년도를 중심으로 생산금지/수입금지하기로 하고
* 2016년을 기준으로 HFC냉매의 대기온난화 현상에 /GWP/Global Warming Potential 이 높다하여 생산중단을 공지하기 시작하며 기타 HC, Co2, HFO계통의 새로운 냉매 혹은 오존층 파괴와 관계없는 냉매사용에 대한 새로운 규제및 조례제정/ SNAP/ Significant New Alternative Policy Program 을 발표하면서 2019년이후 모든 냉매사용의
○ 냉매누설 수리여부및 량, 취급자격증 소지 여부, 장소, 일자 등의 기록여부와 보고의무를 가지도록 하며 HC 계통의 고고압 압력의 경우 안전여부를 재고하여 계속하여 관련단속하려 하면서 소비자의 재훈련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 이글은 새로 개정 개편되여 2018년도 8월이후 새로히 시험문제도 개편될 예정이기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7 년이후 제품에따라 혹은 서로 국가에 따른 새로운 냉매 사용. 지구 온난화 현상에 대비한 냉매사용, 새로운 냉매취급의 미주환경청의 새로운 대책SNAP 정책 변경 사항을 계속하여 올려드릴 예정입니다.
*** 참고: 미주 환경청 공기청정법 냉매회수 냉매취급자격증 시험교재 개정판 6편 참조.
*** 미주 모던냉동 개정판 20편 2018년도 출판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