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작스런 코빗-19으로 음압병동이란 생소한 이름을 알게 됩니다.
■ 주로 병원 응급실, 폐질환 병동및 전염병 질환 치료시설에 설치되는 특수 환기시설로, 최근 해외에서, 혹은 미주 뉴욕에서 임시시설로 설치되는 음압병동 시설 (* Negative Air Pressure Facility. )로, 오히려 담당의사나 간호사들이 피해를 입기도 하는 Covid-19 전염병, 빠른 시일내로 퇴치되기를 바랍니다.
■ 주로 사회적인 거리두기, 자주 손씻기, 공동시설 사용 금지및 모임장소 피하기, 자가격리 2주간 지키기, 기침할때 거리지키기, 외출시 마스크 하기 등을 철저히 지켜야 하겟지요.
■ 보조기사도 외출금지한지 4주가 지나가며, 가족끼리도 거리두기, 화상채팅, 별도 배달 시장보기, 수제 마스크 나누기, 자주 주변 청소및 위생관리를 하며,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지나고 있읍니다.
■ 더우기, 국내외 회원 여러분들 안부 전화주시고, 마스크나 손세정제 나눔을 문의하심에 감사드리고, 노약자와 없는분들께, 혹은 해당 병원에 자진 자선 기부행동에 동참 하실것에 동의하셨읍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쳅터 30: 환기 시스템 서비스: Ventilation System Service.

■ 30.1: 환기 측정: Airflow Measurement.
앞서 이야기 하였던 미연방정부 훈련소 강당에 환기문제가 있다하여 위에 보여준 공기흐름의 량을 측정하는 도구를 이용하여 약 2주간 설계도면과 실제 환기 공기량을 측정하는 기회를 갖게 될때 사용하는 공구//측정기를 알아 보아야 하겟지요.
● Manometer.(* 압력. 측정. )
● Barometer. (* 관계 습도 측정. )
● Pitot tube. (* 공기흐름 측정. )
● Anemometer. (* 바람의 속도 측정. )
● Smoke (* as a velocity or leak indicator. : 공기의 속도및 누설문제 측정. )
● Hot-wire Anemometer (* 느린 속도의 공기 움직임 측정. )
실제 환기시설 측정및 교정, 교체, 개축등은 원래의 목적과 필요사항의 개선을 위하여 많은 필요요건을 종합하여 설계부분과 종합 개선하여 나아가야할 부분이기도 합니다.
■ 30.1.1: 실제 가시적인 공기흐름 표시: Visible Airflow Indicators.
주로 필요한 공기의 흐름은 15 fpm 에서 25 fpm. (* 4.6 m/ min )을 요구하며, 그이하일 경우 거주자의 호흡곤란 불만을 접수하게 되며, 혹은 배기구//supply register에서 너무 많은 공기흐름이 될경우, 오히려 불편함을 (* draft. )호소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 인공연기 (* smoke )를 사용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및 거리를 알아 보려할때 부정확한 사항일수도 있기에 좀더 정확을 기하기 위하여 수차례 수치를 모아서 평균치를 구하려 하기도 합니다.
■ 30.1.2: 공기흐름 추정 후드: Flow Hood:
위에 올려진 사진중에 보여주는 후드로 최근에는 디지털 센서가 온도와 습도, 기타 사항을 알려주기도 하며 스마트폰 연결 옵션도 가지고 있기에 유용하게 사용할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지방정부 환경부에 보고하여야 하기도 합니다.
■ 30.1.3: 공조기 흐름 측정기: Air Handler Flowmeter.
최근 설치되는 공조기에는 환기부분에 설치되여 외기압, 온도, 습도, 흐름등을 종합하여 센서를 통하여 환기모터의 속도조절, 필타교체 여부, 냉난방 가동여부, 댐퍼의 조절여부를 자동으로 조절하려고 합니다. 
■ 30.1.4: 공조기 환기 도어 압력 테스트.: Blower Door Test.
최근 에너지 절약, 혹은 코빗-19으로 알게 된 음압병실 공조기의 역할등으로 지방정부에 따라, 혹은 해당병실의 요구사항으로 공조기 전체의 덕트 공기누설, 및 밀폐공간 문짝의 압력테스트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주의사항:
거주지 지방조례에 따라 건물자체의 절연재 사용, 에너지 절약, 공기누설 규제등으로 건물을 등급을 주어서 혜택을 주려고도 합니다.
● 배기및 환기 모타장소에 설치된 문짝의 구성으로,
1. 가변성 도어프레임 재료로 딱딱한 재료, 혹은 천종류 (* fabric. )
2. 가변성 모터의 설치.
3. 공기압의 편차에 의한 빌딩내부 압력과 외부의 편차계산.
(* 문이 닫히지 않거나, 열리지 않는 경우. )
4. 공기압 측정으로 펜속도 제어.
5. 변형기능 펜 속도 제어.
● 공조기 도어 테스트.
1. 검증 주거지 테스트
@ 외부 출입구 잠금.
@ 내부 출입문 열어놓기.
@ 공조기내의 댐퍼 닫기/잠금.
@ 공조기 부속 외기및 환기시설 잠금및 누설방지 조치.
@ 배기시설 절전/잠금.
@ 벽난로및 기타 난로시설 사용금지및 청소.
@ 모든 급배기 부분 열어놓기.
2. 배기도어설치및 펜 설치.
3. 실내외기 압력 편차 기록.
4. 편차기록후 펜 설치 확인.
5. 펜가동하여 내부압력 --25 Pa유지 (* 외부압력 비례. )
(* WRT: with respect to: 사항을 고려할때. )
6. --25 Pa 압력유지할 동안, 내부 피해사항 재검증.
7. 펜속도를 --50 Pa WRT로 증가하여 공기량 (* cfm )측정.
8. --50 Pa WRT 에 도달할때의 공기량 측정. cfm50: __________.
9. 펜가동 중지.
10. 모든 설치검증사항 원위치로 복귀.
ACH = (* cfm. × 60. min/hr. ) ÷ (* volumn of conditioned space (* sq.ft ) )
ACH: Air change per hour/50 Pa
Pa. = Pressure absolute. = 14.7 psia. = 0 psig.
■■■ 아세요 ?
국제 가정용 조례 (* International Residential Code. ), 혹은 국제에너지 절약조례. (* International Energy Conservation Code. )에 의하면, 가정용도의 경우 3번의 공기변경을 가장 적당하다고 정하여 실시하기로 합니다.
■ 누설과 침투: Infiltration and Filtration.
실제 실내압력이 외부보다 적을경우 침투, 연기및 열 온도편차 표시등을 사용하여 새어나가는 곳을 방지하도록 합니다.
■ 음압시험은 반듯이 자격증//면허소지 및 지방정부 승인및 미환경청, 건축물기능협회// Building Performance Institute의 협조를 받도록 하여야 합니다.
(* 최근 해외에서 급조하여 기증하는 음압병실은 많은 제품이 기준미달이기에 오히려 담당의사나 간호사들에게 역효과인 감염현상을 옮기기도 하기에 반듯이 재검증 사용하도록 합니다. 참조: 국제공조일반사항 인증제품사용 부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