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자신이 지금 20대 이면 어떤 직업을 선택할 것인가? (연재 11)

heatingkim 2020. 5. 18. 17:00

자신이 지금 20대 이면 어떤 직업을 선택할 것인가? (연재 11)
직업 선택: 고용과 피 고용은 동전의 양면


대학원 수준에서 경영학은 총체적으로는 조직이론 (Organization Theory) 에서 다루고 있는데,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조직이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동, 자본, 자원, 기술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결합하고 관리하여 기업이윤을 극대화 하는 것을 배운다. 우리가 논하는 "직업의 선택"은 인사관리 분야로서, 노동을 제공하는 피 고용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능력을 시장에서 파는 것이고, 고용주의 입장에서는 설정된 임금 수준에서 해당보직에 부합한 능력을 가진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다. 특정 능력을 가진 노동상품을 시장에서 교환하는 입장에서 보면, 고용과 피 고용은 수요와 공급의 측면에서 동전의 양면이라 할수있다. 만일 해당 보직의 자격기준을 초과한 노동상품을 뽑는다면, 초과 자격이 가져오는 문제점을 무시할 겨우, 이는 시장에서 흥정으로 노동임금을 낮추는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일자리를 찾는 취업 희망자들은 채용광고를 보고 원서를 접수시켜 시험과 면접등 채용절차를 거쳐 합격통보를 받는 비교적 단순한 과정이다. 그러나 조직을 운영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인사관리 분야에서 많은 일이 산적해 있다. 제일 먼저 할 일은 인력수요릏 판단하는 것이다. 회사의 5개년 계획에 의해, 성장하거나 감소 하거나 간에, 어떠한 직종에 얼마나한 인력이 필요한가 인력소요를 판단하고, 이를 근거로 채용계획을 수립하여 집행한다. 따라서 채용한 인력을 해당 직종에 보직을 하고, 이들이 받은 보직에서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는 가를 점검하고, 부적격한 사람은 조정해서 재 배치하거나 퇴출 시킨다. 제2단계는 이들이 상위 보직에서 임무를 수행할수 있도록 일정기간 보수교육을 실시하고, 임무수행 성과에 대해 평가하여 진급을 시키고 상위에 보직 시킨다. 교육-보직-진급은 일련의 경력관리라 할 것이다.

제3단계는 진급과 함께 상위직 진출에 상응한 보상과 보수 인상이 될 것이다. 기본적으로 전략적 보상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 최 우선 과제이다. 직원의 보상은 직급에 따라 주급 내지 월급으로 지급 되거나, 노동시간에 따라 시간당으로 지급 하거나, 성과급으로 생산이나 판매의 성과에 따라 지급될수도 있다. 또한 간접적 보상으로 보험이나 유급휴가가 있고, 퇴직시 일시 보상금이나 연금을 지급한다. 우리가 군인이나 연방 공무원의 경우를 표준적으로 볼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단계는 노동인력의 일반적 관리 문제이다. 이 단계는 직원의 윤리와 도덕성 유지, 직원의 권리 보장, 노동조합 집단행동과 협상, 직원의 안전과 보건, 그리고 외국 국적의 노동자 관리 등이 포함된다. 인사관리의 요체는 입사한 직원들이 직업적 긍지를 가지고 자신의 미래를 회사에 의탁하고 정진할수 있는 환경을 건설하고 유지하는데 있다고 생각된다.

고용과 피고용이 동전의 양면이라는 점에서 다시 생각해 보자. 피 고용인은 회사가 요구하는 노동력을 제공하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보수를 받는다. 회사는 생산 제품이나 써비스로 자본과 노동의 비용을 만들고 이윤을 창출한다. 따라서 여기서 기본적인 주체는 개인의 능력 이다. 알맹이가 모자란 개인은 어디에 가든지 그 부실함이 문제를 일으킨다. 자신을 내실 (potential) 있는 사람으로 만들려면, 이전 연재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신의 능력을 지적 (intellectual), 정서적 (Psychological), 그리고 신체적 (physical)으로 균형있게 방전시켜, 능력의 삼각형 (a triangular of three abilities) 면적이 넓어지고, 이러한 넓은 면적을 가용시간으로곱하면 자기 인생의 소득이 계산 될 것이며, 이것이 자기 인생의 총 생산 (lifetime income) 이라 할 것이다. 각 개인의 생산성이 증가하면, 회사나 국가의 총체적 생산 (이윤)도 동시에 증가하게 된다.

한 개인이 직장에서 직업인으로 성공하려면, 자신의 능력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회사의 발전에 기여해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 자기실현을 위해 자신의 인생이 추구하는 가치 (Virtues) 를 향해 전진하게 된다. 선택한 직장과 추구하는 가치가 같은 선상에 있다면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이를테면, 인류애를 최상의 가치로 추구하는 사람은 종합병원의 의사로 많은 환자를 치유 함으로서 자신의 직업과 추구하는 사랑을 동시에 성취할수 있기 때문에 이상적인 경우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직장과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의 방향이 일치하지 못하기 때문에, 차선의 방법으로 여가 시간을 할애하여 자신의 가치구현을 위해 꾸준히 정진하여 비슷한 성과를 기대한다. 한 인간이 기본적 욕구가 성취되면, 사회적 욕구를 향해 달리고, 그다음에는 자기실현 (Self-actualization)의 요구를 위해 전진한다는 Maslow의 음성이 들리는듯 하다. (To be continued)

워싱턴 근교에서김휘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