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도계하면 오래전 부터 사용하여 오던 아날로그 스타일의 24.0 볼트 사용하여 수은주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의 움직임에 따라 냉방및 난방을 제어하거나, 상업용 사용의 경우 두가지 성분이 다른 메탈의 수축작용에 따른 , 혹은 모세관내에 내장된 물질의 수축작동에 따라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여 오기도 하였지요.
● 시간이 지남에 따른 디지털 센서의 크기가 미세한쪽으로 흐르면서, 가정용으로도 인터넷 사물기술과 인조두뇌기술을 적용하여 거리에 상관없이 원격조절이 가능하여 진 기간이 20여년이 지나면서 여러기능도 함께 하게 됩니다.
● 보조기사가 즐겨 사용하는 스마트폰 혹은 테블렛 사용으로 현장근무시에도 해외여행중에도 수시로 온도조절및 문젯점 파악 (* Troubleshooting. )도 가능하게 하는 시절이 오면서, 최근 covid-19이후 변화하는 공조기술직도 변화를 맞게 됩니다.
■ 36.1: 온도계란 ?
크게 나누어 두가지로 해석을 하게되여,
일반인들의 인식으로는 거주하는 장소/건물의 온도를 바꾸어주는 장치.
공조인들에게는 온도변경에 따른 자동적인 변경하려는 바이메탈 스윗치로 이해하려는 서로 다른점이 있기도 합니다.
최근 새로운 형태의 온도계는 가동중 인터넷 넷웍으로 연계되여, 사용자의 용도에 따른 정보를 축적하여 필요시 자동으로 냉방시설 가동, 온도조절, 펜모터 속도 조절등을 실시하여 에너지 절약모드를 실시하여 주기도 합니다.
■ 36.1.1: 온도계의 센서와 가동.
● Thermistor.
(* 전자제품으로 두가지 서로 다른 온도감지로 작동하는 부품. )
● Bimetal.
(* 온도변화에 민감한 두가지 메탈로 필요한 온도에 반응하여 작동하는 부품. )
● Rod and tube.
(* 가느다란 막대기나 튜브안에 센서삽입으로 필요한 온도에 반응하는 부품. )
● Bellows or diaphram.
(* 접시모양이나 원통형으로 온도에 민감한 내용물 사용하는 부품. )
● Thermocouple.
(*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두가지 서로 다른 메탈에 온도를 가하여 반응하는 부품. )
● Hydraulic.
(* 오일이나 물을 사용하여 온도감지 작동하려는 부품. )
● Digital sensor.
@ 접점과 자석 : Contacts and Magnets
@ 리드 스윗치: Reed Switch.
@ 수은 사용 스윗치: Mercury Switch.
(* 아세요 ? 수은 사용 스윗치는 오래전부터 인체에 해롭다하여 사용금지 품목이며, 폐기처리시에 환경부처 인증 기관을 통하여 폐기처분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
■ 36.1.2: 온도계의 사용 옵션사항: Thermostat Features and Options.
최근 해외에 짓고 있은 아파트에 옵션으로 들어가 있는 많은 제어 사항에는 화재경보에서 출입문 제어, 방문자 안면인식및 기타 여러사항이 원격 조절되기도 합니다.
(* 문제는 국제적인 표준인증제품이 눈에 띄이지 않는 이유는 어디에 있는지 의문이기도 합니다. 초현대화된 아파트의 가격이 미주화폐가치로 일반아파트가 수백만불이 넘는다니 상상이 가질 않습니다. )
■ 온도계 전압 소스:
● 저압전력. : 24 볼트.
● 밧테리.
● 밀리볼트.
● 라인볼트 : 120/208/ 240.
● 직류 (* 5/9 Vdc. )
(* 최근에는 센서를 통한 시그널 사용하여 디지털로 전용. )
■ 온도센서/감지.
● Thermistor.
● Thermocouple.
● Bimetal Coil.
■ 스윗칭 : Switching.
● Solid state :반도체.
● Reed Switch (* Magnetic )
● Diaphram switch.
● Mercury Switch (* 1992년이후 사용금지. )
● Bellows switch.
● Contacts with magnets.
■ 접점 : Contacts point.
● SPST (* single point, single throw. ) 1개접점 1개접촉.
● SPST (* single point, double throw. ) 1개접점 2개접촉. 3접선/3 wire.
■ 변경: Changeover : 냉난방 변경.
● 수동형. (* 난방, 정지, 냉방. 3가지 포지션. )
● 자동형. (* 온도변경에 따른 자동 가동. )
■ Programming Options.
● Learning (* 필요에 따른 환경에 맞추어 되풀이 할수 있도록 배워가면서 (* 기억해가면서. ) 프로그램에 따른 새로운 방식. )
● Nonprogrammable : 프로그램 없는 옵션.
● Weekdays and weekend.
● 7 days.
● Vacation /away option.
■ Display :
● Touch screen.
● Smartphone.
● LCD.
■ Service reminders:
● None.
● Air filter change.
● Air cleaner.
● Humidifier water pad change.
● UV Light bulb change.
■ Communication interface:
● Wi-fi.
● Ethernet /hard wired.
● Internet Accessible.
● Home automation system interface.
■ Special features:
● Talking thermostat.
● Easy to read display.
■ Temperature display.
● Indoor.
● Outdoor.
● Multiple (* in different set point zones. )
■■■ 아세요 ?
빌딩자동화 및 가정용 자동화는 이미 새로짓는 아파트나 상용건물에 에너지 절약 차원과 안전 차원의 옵션으로 설치 사용되기에 필요시 제품회사 훈련교육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 Heat anticipator : 난방셋팅 편차 교정.
난방시의 열효율 교정에 필요한 편차 (* 1.0°F// 0.6°C. )를 표시하며. 0.15~ 1.0 amps로 교정하여 표시할수도 있으나, 디지털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36.7.1: 온도계 접선 연결 : Thermostat Wiring.
아세요 ?
오래전부터 온도계 연결부분중 편의상 전선의 색갈로 구분하기도 하며, 최근에는 반도체 사용으로 반듯이 표시를 하여 주도록 하여야 합니다.
● Rc. -- Cooling power. (* Red. ) (* 두개 트랜스 사용의 경우. )
● RH. -- Heating power (* Red//red-white: 별도 선택. )(* 두개 트랜스 사용의 경우. )
● R. -- Power. (* 한개 트랜스 사용의 경우. )
● Y. //Y1 -- condensing unit/compressor contactor.
● Y2 -- 2nd stage compressor contactor.
● C. -- 24 volt common connection//optional.
● W//W1 -- heat relay//stage 1.
● W2. -- heat relay //stage 2.
● G -- fan relay (* Cooling only. )
● CR. -- Cooling relay.
● O/B. -- heat pump reversing valve// change over//damper change
● Aux/E. -- heat pump auxiliary heat. (* optional. )
● Hmd. -- humidifier.
● Dhd -- dehumidication.
● Ts. -- outdoor temperature switch. (* optional. )
● Out, Temp, OD, OAS, or, OCT. -- outdoor air temperature sensor. (* optional. )
● In, IDT. -- Indoor temperature sensor.
● M1, Dmp. -- air duct damper control.
■ 최근 추세로는 화재감지 (* 고온, 연기, 일산화 탄소, 이산화 탄소 센서 포함. )
최신 디지털 기술접목하여 AI, IoT, wireless communication//Wi-fi, bluetooth포함하여 스마트폰 사용, 테블렛 사용, 제품회사 모듈사용 제어및 문젯점 해결.
■ 최근시중에 판매되는 온도계의 옵션사항이 위에 열거한 수많은 옵션사항이 포함될수도 있으며 빌딩자동화에 포함되기도 하기에 필요시 제품설명서 참조,혹은 교육 훈련 프로그램에 참석할수 있도록 합니다,
■ 36.3: Line voltage Thermostat.
■ 36.4: Low Voltage Thermostat.
■ 36.5: Millivolt Thermostat.
■ 36.6: Digital & Programmable Thermostat.
■ 36.6.1: Wireless Thermostat.
■ Power stealing Thermostat.
■ Review Questions:
1. A Sensing device that reacts to temperature changes is a ________.
a. humidistat.
b. pressurestat.
c. sensostat.
d. thermostat.
2. A common temperature -Sensing component that reacts to temperature changes by changing shape to actuate a reed switch or mercury switch is a _______.
a. Bimetal strip.
b. diaphragm.
c. thermistor.
d. thermocouple.
3. To reduce or eliminate electrical arcing in an electrical control use _______.
a. a long Bimetal strip coiled tightly.
b. magnetic to pull in electrical contacts.
c. a mercury swtch.
d. any of the above.
■■■ 아세요 ?
● 냉매회수는 공조인의 의무사항입니다.
● 냉매취급자격증 소유는 공조인의 의무사항입니다.
● 냉매회수 관련 교육및 훈련은 공조인의 의무사항입니다.
● 냉매회수 관련 안전 작업은 공조인의 의무사항입니다.
■■■ 아세요 ?
● Post Covid-19공조인 세계는 여러분 상상이외로 변화가 올것입니다.
● 인공지능의 세계가 여러분 앞에 도달하였읍니다.
● 비대면의 사회가 눈앞에 , 원격조절의 세계, 스마트폰 시대가 앞에 닥아왔읍니다.
● 사회적인 거리두기, 외출시 마스크 착용, 외출후 손씻기 반듯이 지키셔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