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8.1: 기본 구조: Basic Components.
자연적인 흐름으로 인한 난방구조가 아닌 강제 순환 난방 구조에는;
오일이나, 개스사용 난방구조로서
● 연소 구조: Combustion chamber.
● 연료보급및 연소장치: Fuel delivery and burner.
● 연도및 출구. : Flue or outlet.
● 열교환기: Heat Exchanger.
38.1.1: 열 원료 자재.
38.1.2: 열교환기.
● 일차 열교환기 : Primary heat exchanger.
● 2차 열교환기: Secondary heat changer.
● 응축원리 사용 고효율 난방기: Condensing furnaces high efficiency furnaces.
■ 연도와 환기: Chimney and Vent.
제대로의 연소를 위하여 원활한 공기 공급및 연소가 빌딩내의 거주자의 보건, 건강과 직결되여 중요시 하며, 국제공조일반사항 및 제품회사 설명서, 그리고 설치장소 지방당국의 조례사항을 중요시 하여야 합니다.
■ 38.1.3: 실내 환풍 모터// Indoor Blower:
해외 관련 기술 서적을 보면 많은 해외언어를 사용하는중, 이해가 가지 않거나, 원래의 뜻데로 번역이 되지 않아 , 원어발음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읍니다.
Blower (* 블로우어. )란 펜날개와 모타가 한몸체가 되여 필요시 실내공기를 강제로 환기시키는 부품을 이야기하며, 디자인에 따라 직접연결 (* Direct drive. )혹은 벨트사용 간접연결 동작 하기도 하며, 필요시 서로 격리된 상태에서 바람을 움직이는 시스템을 보기도 합니다.
사용하려는 벨트사이즈는 필요에 따라 길이와 넓이, 폭이 다르게 사용되기도 합니다.
■ 38.1.4: 연소용 배기 펜 모터: Combustion Blower.
난방용 열효율및 열교환기 구조에 따라, 소형 혹은 대형 개스난방시설에는 필요산소 공급을 위하여 공기를 끌어내거나. (* induced draft blowers. ), 혹은 불어넣는 (* Forced draft blowers. )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 38.2: 난방 타입및 구조: Furnace Types and Construction.
집안구조나 디자인에 따라 바람이 아래서 위로 (* upflow. ), 위에서 아래로 (* down flow. ), 혹은 난방시설 모양에 따라 Highboy furnaces, (* 높은 모양의 난방시설. ), Lowboy furnaces. (* 낮은 모양의 난방시설. )등의 모양으로 나누어 이야기하며, 혹은 디자인에 따라 좌우로, 혹은 우에서 좌측으로 눞여서 가동하는 시설도 보게 됩니다.
■ 38.2.5: 모듈형 난방: Modulating Furnace.
해외에서는 캐스캐이드형 (* Cascade. )설치라 부르기도 합니다. (* 맞는 단어는 아닌듯 합니다. )
Cascade: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유닛이 개별적으로, 혹은 별도로 가동하면서 저온및 고온셋업에 따라 별도로 가동하는 경우. (* 냉동의 경우. )
난방의 경우, 난방효율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촤대 필요용량을 4/6/8/10/12로 나누어 필요시 필요열량만 제공할수 있도록 무작위 추출 순서, 혹은 프로그램에 따른 고른 가동순서. (* AI. 사용. )로 실외온도에 따른 가변성 가동을 미주에서는 Modulating난방이라 부르기로 합니다.
실제 캐스캐이드란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이야기할수도 있으며 주로 냉동에서 사용하는 언어이기도 합니다.
(* 참조 : 미주 모던냉동 교과서 개정판 20편 쳅터 38.2.5. 참조. )
■ 필요공급 공기: Makeup Air.
최근 Covid-19 감염사태로 생소한 (?)언어 사용및 특수 병실에서 음압 공가사용 병실을 찾게 됩니다.
불필요한 병균/바아러스 2차감염을 막고 필요한 산선한 공기를 환자와 별도로 간호인들의 필요산소 공급및 감염방지를 위한 특수공기 배급및 환기시설에 필요시에 공급하려는 별도의 공기를 필요공굽공기 혹은 Makeup air 란 단어로 필요한 연소 공기 공급을 필요로 하기도 합니다.
■ 공기 공급 제어: Blower Controls.
필요한 공기 공기 공급 방법에는 여러가지 필요에 따른 온도에 따라, 디자안에 따른 사간지연, 필요온도에 따른 가동방법등을 자동으로 140°F// 60°C에서 가동, 90°F// 32°C에서 중지를 기계적인 센서 사용, 혹은 타이머 사용, 최근에는 디지털 시건 지연및 센서사용하여 열효과를 최대로 하려고 하기도 합니다,
■■■ 아세요 ?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문제로, 보일러 사용하지 않고 (* 상업용의 경우: No-Chimney ), 중압집중식 힛펌프로. 고압/고온의 냉매를 필요한곳에 별도로 보내여, 일정한 온도유지를 하려 하며, 필요시 별도의 전열을 이용하여 최소의 난방을 유지하려 합니다.
(* Variable Refrigerant Flow System 종합검색 가능. )
● 유닛 히터: Unit Heater: 덕트 연결없이 열교환기 (* 개스, 오일, 전기 )와 펜모터를 사용한 열린 공간에 설치 사용하는 난방시스템.
● 보충 공기 유닛: Makeup Air Units: 별도로 필요한 공기 공급하기 위한 공급시스템으로 냉난방시설을 옵션사항으로 최근 Covid-19응급병실에 음압 병실 시설로 영구설치, 혹은 임시설치하기도 합니다.
(* 위에 올려진 두가지 시설은 미주에서 일급면허 시험문제로도 출제되기에 참고삼아 올려봅니다. )
■■■ Review Questions.
1. Which of the following heat distribution methods relies on only natural convection to distribute heated air ?
난방열 배급방법중 자연적인 흐름을 이용한 난방은 ?
a. forced air.
b. gravity.
c. hydronic.
d. All of the above.
2.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a basic component of a gas fired furnace ?
개스 사용 난방 기초 부품이 아닌것은?
a. blower motor.
b. Electronic resistance Heating element.
c. flue.
d. heat exchanger.
3. In a Condensing furnace, Circulating air passes over the ______ before passing over the primary heat exchanger.
콘덴싱 히타에서 1차열교환기 전에 공기가 지나려하는 곳은 ?
a. burner.
b. Combustion blower.
c. flue.
d. secondary heat exchanger.
■■■ 아세요 ? .
● 냉매회수는 공조인의 의무사항입니다.
● 냉매취급자격증 소유는 공조인의 의무사항입니다.
● 냉매회수 관련 교육및 훈련은 공조인의 의무사항입니다.
● 냉매회수 관련 안전 작업은 공조인의 의무사항입니다.
● 냉매회수 관련 변경사항이나 새로운 규제에 대한 공부는 여러분들의 의무사항이기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