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힛펌프:
힛펌프란 냉매의 흐름을 바꾸어, 필요한 열을 더하거나 (* 난방// add heat. ), 혹은 열을 빼앗아 (* 냉방// remove heat. ) 필요공간에 실내온도를 필요시에 유지하려고 하는 시스템을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 40.1: 힛펌프 기초: Heat Pump Basics.
해외에서는 오래전 부터, 실내기. (* Indoor coil. ), 실외기. (* Outdoor coil. )등 설치 위치에 따라 ,혹은 필요에 따른 역할에 맞추어 부르기로 합니다.
한예로, 실외온도 10~15°F// --12°C ~ --9°C 의 경우, 가동 냉매의 온도가 0°F// --18°C인 경우, 낮은 온도의 실외기 열교환기를 통하여 열흡수를 통한후, 낮은 기체압력 (* Low Pressure Vapor )이 압축기를 통하여 120~ 140°F // 49 ~ 60°C의 고압기체로 실내기로 보내어져, 열교환을 통하여 실내로 열을 전하며, 같은시간에 실내기를 통하여 응축 (* Condenser. )되는 순서가 되풀이 됩니다.
● 실내기: Indoor Coil.
필요에 따라 열교환에 따라, 난방작용및 냉방작용을 하는 열교환기를 실내기 (* Indoor Coil. )이라 부르기로 합니다.
그러나, 한가지 일만 하는 경우에는 (* 냉방. ), 기화기 (* Evaporator )라 부르기로 합니다.
● 실외기: Outdoor Coil.
필요에 의한 열교환으로 실외에서 열흡수및 열배출하는 경우, 실외기 (* Outdoor Coil ) 라 부르기로 하며, 필요에 따라 설치하는 위치가 다를수도 있읍니다.
■ 40.2: 힛펌프 타입: Types of Heat Pump.
● 공냉식 힛펌프: Air-Source Heat Pump. (* ASHP )
공기를 열교환 매체로 할 경우, 실외 최소 효과 온도를 32°F// O°C로 하며, 최신형의 경우 좀더 낮은 온도일 경우도 있읍니다.
● 지열 소스 힛펌프: Ground-source Heat Pump.
지열을 사용하여 열교환을 하려고 하는 힛펌프, 물을 사용하려는 경우, 혹은 냉매를 사용하려는 경우에 따라, 계절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지열사용, 혹은 지하수 사용하여 냉난방을 하려고 하는 경우, Geo-thermal Heat Pump//지열사용 힛펌프 라 부르기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