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빙기 설치방법 | |
1. 제빙기 측면 또는 뒷면에 부착되어있는 명판을 확인합니다. | |
2.전기배선 | |
제빙기는 그 국가나 지방의 전기규칙(Electrical Code)을 충족시키는 | |
접지선을 필요로 합니다. 사람의 전기충격에 대한 안전과 장비에 대한 손상을 | |
예방하기 위해 제빙기에 적절한 접지선을 설치 하십시요. | |
a. 제빙기의 전원은 충분한 용량을 가진 독립된 콘센트에 꽂아야 합니다. | |
최대 허용 전압범위는 명판에 표시된 비율의 10%를 초과해서는 안됩니다. | |
* 참조:220V의 모델에 허용 전압범위는 -6%에서 +10%까지이고, 240V의 | |
모델의 허용 전압범위는 -10%에서 +6%까지 입니다. | |
b.면허를 가진 전기 기술자의 설치와 써비스를 필요로 합니다. | |
3.물공급과 배수구연결 | |
* 주의) 냉동장치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단수가 되거나 권장 수압인 0.5Kg/cm2 (7PSI) | |
이하 일 때는 제빙기를 작동하지 마십시오. | |
적절한 수압이 다시 회복될 때까지 제빙기를 정지 시키십시오. | |
a.급수관의 Inlet는 RC1/2입니다. | |
여과기 플러그를 내리고 프라스틱으로 된 그물형 여과기를 설치 해야 합니다. | |
여과기를 급수관에 연결하되 제빙기에 가까운 위치에 하고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 |
여과기의 화살표를 향하게 하여야 합니다. | |
b.급수관의 개폐밸브(볼벨브/나비벨브)와 배수구의 닛블 설치하여야 합니다. | |
c.공급수압은 최소 0.5Kg/cm2, 최고 8Kg/cm2이어야합니다. 8Kg/cm2이 초과하면 | |
압력감소밸브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 |
d.배수구는 R3/4인 숫나사이며 배수가 잘되기 위해서는 1M에 2Cm경사져야 합니다. | |
e.배수구와 하수구 사이의 높이는 5Cm이상의 간격을 두어야합니다. | |
f.어떤 경우에는 배관공사허가와 면허를 가진 배관공의 써비스를 필요로 합니다. | |
4.설치점검 | |
a.제빙기가 수평으로 설치되였는가. | |
b.주위 온도가 1년 내내 최소 1도에서 최고 35도 되는 위치에 있는가. | |
c.쉽게 작동되고 써비스를 받기위해 제빙기 주위에 15Cm이상의 여유가 있는가. | |
d.모든 운송용 테입과 끈,포장이 제빙기에서 제거됐는가. | |
e.모든 전기접속과 급수/배수의 연결이 잘되었는가. | |
f.공급된 전원 전압이 명판에 맞추어 시험하고 점검하였는가. 제빙기에 적절한 | |
접지선이 가설되였는가. | |
g.급수관의 개폐밸브와 배수가 설치됐는가. 최소0.5Kg/Cm2와 최고 8Kg/Cm2를 | |
확보하기위해 공급수를 점검해보았는가. | |
h.압축기Hold-Down 숫나사와 모든 냉동선이 진동과 있을수있는 파손에 대비하여 | |
점검했는가.(분리형) | |
i.Bin Control Switch(저장고내 제빙기 정지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 점검했는가. | |
j.저장통 (Storage Bin)이 깨끗한 천으로 닦였는가. | |
k.사용자가 사용설명서를 가지고있고 제빙기의 작동법과 장기적인 보증에 | |
대하여 교육을 받았는가. | |
l.사용자가 써비스 쎈타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알고있는가. | |
5.특기사항 | |
a.제빙기는 주위온도 빙점이하에서는 작동을안합니다. 급수및배수의 동파에 | |
유의하십시오. | |
b.공냉식인경우 밀폐된공간에 설치하면 안되며 흡입구쪽의 필터는 설치장소의 | |
조건에따라 자주 솔이나 진공청소기로 청소를 해주셔야 합니다. | |
c.제빙기 뒷면 상단에 부착되여있는 급수필터는 확인후 청소해 주셔야 원활한 | |
급수가 됩니다. |
출처 : 캐논
글쓴이 : PG의 이야기 원글보기
메모 :
'현장의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제빙기 청소와 간단한 분해 방법 (0) | 2011.09.26 |
---|---|
[스크랩] 다중우주 (0) | 2011.09.26 |
[스크랩] 원소기호표 (0) | 2011.09.26 |
[스크랩] 원소기호표 (0) | 2011.09.26 |
[스크랩] 도량형 환산표 (0) | 2011.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