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의소리

[스크랩] 냉수배관 보온시 속비닐이 필요한가?

heatingkim 2014. 2. 16. 12:41

예전에 보통 유체의 온도가 10이하인 냉수배관을 보온할 때는

배관 표면에 투명한 비닐테이프(일명 속비닐)를 감고 그 위에 보온재를 시공한 뒤

보온재 외부에 추가 마감(매직/포리마테이프나 칼라함석 등)을 하였습니다.

보온재를 시공하기 전에 속비닐 테이프를 감았던 이유는 다들 아시다시피

낮은 온도의 배관 표면이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결로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아주 오래전부터 다들 배관 표면에 속비닐을 감고 그 위에 보온재를 감싸고 있는데...

 

그러나 사실은 이것은 잘못된 시공이라고 생각합니다.

차가운 배관 표면이 높은 온도의 공기와 접촉하여 결로가 발생된다면

이미 보온(보냉)을 실패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원칙적으로 배관의 보온시 비닐을 감으려면 배관의 표면보다는 보온재 외부에 비닐을 감싸는 것이

좀 더 효과적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배관 표면에서 결로가 생기지 않게 공기와 차단을 시켜주고자 한다면 배관 표면보다는

그보다 외부쪽에 있는 보온재 밖에서 우선적으로 공기를 차단해주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보온재의 외부를 신축성이 좋은 비닐로 쫀쫀하게 감아주면 외부의 더운 공기가 보온재 내부로

잘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보온재와 배관 사이에서는 비교적 낮은 온도 또는 비슷한 수준의 온도로

유지되면서 결로가 잘 발생되지 않을 것입니다.

만일 비닐을 배관 표면에 감싸고 그 위에 보온재를 시공한다면, 보온재에 스며든 더운 외부 공기가

배관 표면에 밀착된 낮은 온도의 비닐과 만나면서 앞의 경우보다는 결로의 가능성은 높아질 것입니다.

(얇은 비닐이 탁월한 보온 효과가 있는 단열재는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도 국토해양부에서 고시한 <건축기계설비공사 표준시방서>에도 보면

냉수배관의 보온재 시공시에 외부의 공기로부터 차단해주기 위하여 보온재의 외부쪽에 비닐 테이프를

감도록 되어 있습니다. (보온재의 안쪽이 아니라!)

 

 

 

 

 

 

그렇다면 왜 그동안 배관의 표면에 속비닐을 감고 그 외부를 보온재로 감쌌던 것일까요?

 

추측컨대 아마도 그것은 예전에 보온 재료로 많이 사용되었던

그라스울과 포리마테이프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라스울은 다른 단열재보다도 공기 투과율과 흡습율이 좋기 때문에 외부의 더운 공기가 쉽게

보온재 내부로 스며들어 낮은 온도의 배관 표면에서 결로가 자주 발생하게 되었는데,

그 당시에 외부 마감재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던 포리마테이프는 신축성이 좋지 않아서

보온재와 외부 공기를 기밀성 있게 차단해 주는데 어려움이 많았고,

그로 인하여 결로가 발생하는 배관 표면을 비닐을 한번 더 감싸주면 결로가 좀 줄어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속비닐을 시공하게 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 그라스울이 발포폴리에틸렌 보온재(일명 아티론)로 대체되고, 외부의 포리마테이프가

매직테이프로 대체된 이후에도 속비닐을 감싸는 관행이 이어지는 곳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제 배관 보온재로 흡습성이 낮은 발포폴리에틸렌 보온재가 보편적으로 시공되고 있고,

그보다도 더 흡습성이 낮은 고무발포 보온재가 시공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과연 속비닐이 필요할까요?

 

결론적으로 이제는 속비닐이 필요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속비닐이 필요없는 전제 조건으로 발포폴리에틸렌 보온재 시공시에는 외부를 매직테이프로 쫀쫀하게

감싸주어야 할 것이고, 고무발포보온재일 경우에는 이음매 부위를 접착제로 틈새없이 꼼꼼하게 부착해

주어야 할 것입니다. 발포폴리에틸렌 보온재가 은박재가 부착된 일체형 제품이라면 더욱 좋을 것이고,

보온재의 이음부위들을 접착테이프로 한번 더 보강해 준다면 더욱 좋겠죠....

 

어쨌든 앞의 국토해양부 표준시방서에서도 보면 발포폴리에틸렌 보온재 시공시에는 비닐테이프에

대한 표기가 없고, 요즘 많이 사용하는 고무발포보온재의 모든 업체들 시공 지침에서도 냉수배관에

비닐테이프를 감아달라는 문구는 찾아볼 수 없는 상황입니다.

 

 

 

출처 : 보일러,냉동,가스,건축설비
글쓴이 : 연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