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정보

[스크랩] 공조방식에 따른 에너지절약방법

heatingkim 2014. 7. 24. 14:30
공기조화에서 닥트 시스탬의 절약방법(오피스,백화점,병원등)

 

 1)외기량 처리 방법

    냉난방부하중 외기량의 부하가 최대라고 어떤 실험치를 본적이 있다.그러나 대부분이 운전 관리자나 또는 외기담파의 특성을 잘모르고 감각 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간혹 있거나 난방 또는 냉방시 풍량이 다른데도 처음 조정한 상태로 계절에 상관없이 운전를 한다

  예를 들어 외기량이 30%일 때 담파각도를 90*30=27도 로 개패 하여실제는 60%의 외기량 도입이 되고 있다.

결국 외기댐퍼는 누기량이 적고, 댐퍼 특성이 가는한 직선형에 가까운 것를 사용하는 것 이 에너지 절약에 큰 도움이 된다

 

 2)외기량를 최소의 방법으로

   a.외기량이 꼭 필료한 량 만큼 한다면 더욱더 큰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기량을 도입하는 데는 리턴에 CO2 센서를 설치하여 자동제어와 연동한 후 CO2량에 의해 외기담파 개패를 조절하면

백화점 박물관등 유동인구가 많은곳 은 많은 효과를 볼 수 있다.

   b.요즈음은 실내에 전산기기 등 에는 초겨울이나 초봄에는 외부는 추우나 사무실은 생각지 않게 무더운 경우가 많다 특히 중간기(봄,가을)에는 외기댐퍼를 최대로 큰 용량과 최소량의 댐퍼를 설치하여 겨울과 여름은 적은 용량의 댐퍼를 사용하고 중간기는 큰용량의 댐퍼를 사용하여 냉동기를 사용하지 않고 외기냉방을 한다

   c.그럼 아침에 운전시는 어떻게 하는게 하면 될까요.건물에는 직원들 또는 외부손님이 올 수 있다 하지만 예열또는 예냉시 에는 최소 외기량이 필요 없다고 본다(사람이 없기 때문에)그래서 아침에는 외기량 댐퍼를 닫고 운전한 후 출근 또는 방문시에는 외기담파를 연다.또는 타이머를 사용하여 댐퍼와 fan을 인터록 한다.

그러나 중간기(봄,가을)때는 외기 담파를 닫지 말 것.

 

3)외기량을 최소로 한 다음 전열교환기 사용

   전열교환기는 배기닥트의 열량를 급기닥트로 열량를 흡수하는 방법으로 현열 잠열등 가능하며 외국의 경우 년간 난방은 40%,냉방은 7.6%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볼 수 있다.

 근래의 병원등에는 전열교환기를 많이 사용하나 I.M.F이후 걸설비 관계로 사용를 기피 한 경우가 많으나 병원은 환자들이 있어서 감염등 불퀘감이 많아서 대부분 리턴닥트가 없이 배기 하기 때문에 많은 에너지가 낭비된다.

 

 

공기조화에서의 실링닥트 방식

 

   실링닥트는 일반적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것 같다. 설치방법은 공급닥트 만 있고 리턴닥트는 없이 리턴공기를 입상닥트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임. 그러나 대부분 공사비를 줄이고 부실공사로 생각하는 일부의 사람도 있다.

   실링닥트의 목적은 그러나 완전히 다르다.

그건 에너지 절약에 주안점이다.우선 천장에 있는 형광등의 조명 열량을 제거 하기위한 것으로 노출형은 아니고 매입형 조명에 대하여 열를 실링 위로 열를 유도하여, 조명열을 실내 부하로 처리하지 않고 계산하여 조명열을 절감하는 것이다.

   결국 조명열은 어디로 가냐면 천장위로 해서 입상 리턴 닥트로 들어감.

 

1.실링닥트의 적용시의 장점

  1)조명부화가 실내에 적용이 않되므로 공기취출구의 용량감소

  2)닥트용 함석등 재료비 및 인건비 감소

  3)층고를 낮출 수 있다

  4)송풍량 감소로 팬용량감소등 있으며 당연히 에너지도 감소할 수 있음

2.실링닥트의 적용시 주의점

  1)매입형 조명 이 50%이상 천장내에 매립되어야 한다

  2) 리턴닥트와 같이 천장에도 오물등 이 없게 청결해야 한다.(공조기에서

재순환이 되므로)

 

 

설계조건으로 에너지 절약방법

 

 1.설계조건으로 에너지 절약방법은 인위적으로 당초 설계시의 온도,습도를 변경 하여야 한다 그러나 실의 기능을 해치면서 까지 하는 것은 안된다.

   그럼 어떤 범위내 에서 해야 될까요. 별거는 아님니다.

하계시 온도는 28도 상대습도 50%, 동계시 온도 18도 상대습도 40% 로 하면 적당하다 (공조.위생공확회 기술자료나 근래에는 관에서도 기술지침에 기술 되어 있다).

  위에서도 서술 하였지만 실의 기능에 주의 하여야 하며, 예를 들면 병원의 질료실 ,병실등은 온도를 18도로 하여 에너지 절약을 한다면 오산이며, 온도를 22도로 해야지 아니면 환자의 보호가 어렵다.

 

열원장비의 선정과 운영

 

  1)냉동기

      냉동기는 COP 큰 것이   성능면에서 좋은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전동식 냉동기는 흡수식에 비하여 COP가 상당히 크고, 에너지 차원에서 도 전동식의 선정 이 바람직 하다.

그러나 에너지 단가와 조합하면 오히려 흡수식이  운전비가 저렴하여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냉동기의 사용시간은 연속보다는 부분적 으로 사용이 많으므로 부분적 으로 사용시 그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예 단단터어보의 히트펌프에서는 서어징이 일어날 수 있는 범위가 100~75% 이므로 주의 요함)

  

  2)축열조

      축열조는  당초의 목적은 운전비,설비공사 금액등 에서 유리하나 설계자, 시공자의 지식부족으로 운전비,설비가 증액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는 축열조에 많은 실폐사레가 좀 있는 것 같다.

 

A.그래서 이런 경우에만 적용하면 어떨까 한다

    a.태양열 냉난방에서와 같이 석유,가스등을 이용하지 않고 전기로 사용할 때

    b.심야전력 단가가 저렵할 때

    c.공장,발전소등 폐열을 이용할 때

    d.그외 열회수가 가능한곳

    e.설계시 장비,축열조 관계를 고려 하여 선정

      (대부분 과부화 설계(max)로 용량만 커 운전비와 설비비 과다)

B.이런 경우는 실폐한다

    a.축열조의 손실이 10% 이상 일 때

    b.순환펌프 양정이 클 때

    c.피크부하에 대한 능력(cop)

  또 겨울에는 가습부하를 높게하면 유리창에 결로가 생기므로 습도를 40% 로 하면 결로 방지도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으며,여유가 있다면 창문를 2중창 으로 교체하는 게 어떨까요

 

 

설계조건의 운영 방법

 

   a.일반사항

         모든장비등 사용부하처(실내)에 될 수 있는데로 가까이설치

           (파이프,닥트등-반송동력을 줄이기 위하여)

   b.닥트계통

         저속닥트는 최대8m/s이하 로 할 것

           (정압이증대되어 동력증가)

        누기량 최대10%이하로 할 것

           (새는게 많으면 아므런 의미가 없으므로 가능한 누기시험을 하여 누기량 줄일것)

        닥트기구 및 콘트록박스등 저항치가 적은 것으로 할 것

           (예,vav가 정풍량 보다 동력 소비가 많으면 에너지 절감의 효과 의미 없음)

   c.배관(냉난방)

        .유속은 최대2m/s이하 로 할 것

           (배관부식,동력증가가 됨)

        .fcu배관길이가 200m가 넘을 때

           (저항 30~50mmAq/m범위내로 zone를 나눌 것)

        .어쩔 수 없이 200m(fcu배관길이)가 넘을 때

           (온도차를 5도에서 10도로 변경하여 유량를 감소시킨다)

        .유량이 5m3/min이상일 때

           (펌프댓수제어,회전수제어,또는 변유량제어를 하여 동력비 감소)

 

출처 : 보일러,냉동,가스,건축설비
글쓴이 : 다움이[전석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