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정보

[스크랩] [본문스크랩] 에어컨설치/냉동능력*개략설치참고자료

heatingkim 2011. 12. 14. 16:09

set10_home.gif

  anib10.gif 에어컨 냉방능력 표준 및 단위 환산_천장 매립형 자재

 

g_mail.gif

 

6, 에어컨 냉방능력 표준, 단위환산표

 

 

1. 에어컨 냉방능력의 표기 호칭기준 (Ton 환산법)                           

냉방능력

일반마력

냉동  

표시면적

    

(Kcal/h)

(HP)

  (Rt)

(평수)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의한표시로
   
단지 Comp압축량에 의한 기준이며,
     
통용중인 냉동톤이나 열량
냉방능력과  다름   

4,000 

1.5  

1.32

12 

4,500  

--

1.48

--

5,100 

2  

1.68

15

6,100

2.5

2.07

20

7,100

3

2.35

25

11,000

4.5

3.63

30~40

법정 냉동톤은 1.78 Rt

12,500

5.5

4.13

35~45

법정 냉동톤은 2.52 Rt 

18,000

8

5.95

50~60

법정 냉동톤은 4.38 Rt 

25,000

10

8.26

65~80

법정 냉동톤은 5.50 Rt 

35,000

15

11.57

80~130

법정 냉동톤은 9.76 Rt 

50,000

20

16.53

130~160

법정 냉동톤은 11.00 Rt

제품 Cat'g
 표시된
 냉방능력

HPComp1USRt= 
3024Kcal/h
기준환산치임. 사용모터의출력을
호칭하며
냉방능력과는 무관함 

 

냉방가능
면적은
 설치환경
  따라  
다르나 
사무실
기준이며
 평당 300 Kcal/h 적용함

위의 기준은 LG적용 Comp 기준이며,
법정냉동톤 3Rt  이상은 제품명판에
표기해야 .  

 

2. 단위 환산표

구분  

Kcal/h  

Btu/h  

(US)Rt

(J)Rt

KW 

HP  

Kcal/h

1

3.968

0.0003306

0.00003312

0.001162

0.00155

Btu/h 

0.252

1

0.0000833

0.0000759

0.000293

0.00039

(US)Rt

3,024

12,000

1

0.91

3.57142

4.69

(J)Rt 

3,320

13,174.6

1,097

1

3.861

5.149

kW

860

0.003412

0.2843

0.2590

1

1.333

HP

640

2,559.5

0.213

0.1942

0.75

1

 HP 동력단위로 이론상 열량 단위로 환산할 경우  1HP=640Kcal/h    

 에어컨 압축기 호칭출력 1HP 개략 2,500Kcal/h이나 이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있음. 

 

3. 단위 환산 내용

표시단위

단위계 

           

대표적사용처

Kcal/h 

MKS단위

단위시간당 1kg 1 높이는데필요한 열량  
단위시간당 1Β(0.453kg) 1℉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제품Spec
정확한
표시방법

Btu/h 

ft-lb단위

(US)Rt

--

32℉의 1(2,000Β) 24시간동안에
32
℉의 얼음으로 얼리는데 필요한 열량 
(1Rt=12,000Btu/h=3,024Kcal/h)   

미국에서
주로사용

(J)Rt 

--

 0℃의 1(1,000kg) 1일간에  0℃의
얼음으로 얼리는데 필요한  열량 
(일본 냉동톤)  

일본에서
주로사용하며
,
국내  미사용 

법정냉동톤

--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상의 냉동능력산정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 단순히제품이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해당되는가를 사용Comp
압축량에따라 판단하는 기준임.
R (1 냉동톤=V/C) 
-V:압축기의 표준회전속도에 대한1시간의
Piston
압축량(/h) 
-C:냉매가스의 종류에 따른 상수 

미국에서
주로사용
    

HP   

--

Horse Power 약어로 한마리가 내는힘
단위로
동력의 단위임. 
냉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Comp에 해당하는
Motor
출력을 표시하므로 공학이론
계산과의 차이에 유의해야 .  
공학이론 계산시는    
1HP=745.7W=640Kcal/h 계산한다. 

국내에서
일반적
호칭방법 

W  

SI단위

SI단위로서 표준열량 단위이며,1KW=860Kcal/h  

국제표준으로
현재
국내에 
적용치않으나
향후
KS규격표준
으로채택될
예정임
 

      

7, 천장매립형 에어컨 덕트자재.

 

 천장매립 덕트형에어컨 설치표준

 LB-552C/Z 모델  

 덕트 시공자재 및 외형설치 도면(표준)

 

 천장 매립덕트형 설치자재

 

 후렉시블 덕트 (FLEXIBLE DUCT)
   토출측 재질: 라미네이트원단(AL재질)+탄소강+그라스 울
   흡입측 재질: 부직포원단+타소장+그라스울
   규     격  :   150A, 200A, 250A, 300A

 흡입그릴: (RETURN GRILLE)
   적용방법: 텍스에 흡읍공기의 원할한 공급 및 점검구
                 FILTER내장으로 내부공기정화의 목적
   재      질: AL재질
   규     격 : 300x300,  300x600,   300x1,200

 

 덕트 연결구: (DUCT ADAPTER)
   적용범위: 리턴그릴 설치시 덕트 연결구임.
   재      질: 아연도강판+ 소부(분체)도장
   규      격: 300x300 ,300x600, 300x1200
 

 

 흡입 참버 (RETURN CHAMBER)
   적용범위 : 리턴흡입시 기기본체에 부착하여 덕트시공
   재질: 아연도강판+ 흡음재+외부보온
   규   격:  1188x288x300

 급기 참버 (소음참버: SUPPLY CHAMBER) - 분기관으로 나누어 주는 역활

▶▶▶▶▶▶▶▶▶▶▶▶▶▶▶▶▶▶▶▶▶▶▶▶▶▶▶▶▶▶▶▶▶▶▶▶▶▶▶▶▶▶▶▶▶▶▶▶▶▶▶▶▶▶▶▶▶▶▶▶

 

에어컨은 보통 1 RT(1냉동톤,3,024Kcal/h,8~10평 냉방가능)당 0.75Kw/h(1마력)이
소요 됩니다.

예를 들어 님이 하루에 1냉동톤 짜리 에어컨을 10시간씩 가동 한다면
0.75 x 10 x 30 = 225 Kw/h가 한달 전기사용료 이므로 에어컨 사용 않한 지난달
전기요금에 이것을 합아여 계산해 보면 됩니다.

만약 님의 에어컨이 0.5 RT (약 15,00Kcal/h,4~5평용)이라면
112KW/h를 합하여 계산하면 됩니다.


    RT는 에어콘 등의 냉동능력을 말합니다.

    1RT는 섭씨 0도 물 1톤을 0도 얼음으로 하루 동안 만드는 냉동능력을 말합니다.
    즉, 1RT = 1000kg * 79.68kcal/kg c * 1day/24h 하면 3320Kcal/h 입니다.

    그리고 마력은 1 KW = 1 KJ/s = 1 KN*m/s = 1000 N*m/s = 1000/9.8 Kgf*m/s
    = 102 Kgf*m/s,
    1마력은 75 Kgf*m/s 이니 102/75 = 1.36 마력이군요

    또 압축기는 냉동작용을 하는데 필요한 동력원입니다.
    따라서 압축이 용량이 커지면 다른 기기의 용량도 커져야 할 것이고 그만큼 냉동능력도
    커지는 것입니다. 가령 3RT에서 5RT 이런 식으로 말이죠

 

1] 창문형 에어컨
중동국가 쪽에서 많이 사용하는것으로 실내기와 실외기가 같이 붙어있어 설치가 간편하고
장소의 차지를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소음이 심하고 사용할수있는 평수 크기가 3~6평정도로 작은용량뿐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여관이나 모텔 같은곧에서 많이 사용했었죠.....^0^

[2] 분리형 에어컨
벽걸이형 에어컨이라고도 하는데요... 유럽이나 일본쪽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창문형 에어컨의 단점인 소음을 줄이기위해 실외기와 실내기를 분리시켜서 분리형이라고 하죠..
사용평수는 4~17평형까지 있습니다....요즘 우리나라에서는 인테리어적인 요소까지 가미시켜
디자인이 아름다운 액자형 에어컨이라는 변종(?) 을 출시하였고....
이때문에 방에놓는 룸에어컨이라고도 합니다.......^0^

[3] 스탠드형 에어컨
거실문화가 발달한 중남미 쪽에서 많이 사용하는 모델로써....
요즘 우리나라도 스탠드형을 선호하는 추세입니다... 12평~28평까지의 용량이 있구요
분리형에어컨의 작은 용량을 보완하여 큰 용량으로 나온 모델이라 볼수있습니다...
전문용어로 PAC (패키지 에어컨) 이라고도 합니다....

[4] 멀티형 에어컨
1대의 실외기에 1대의 실내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아닌...
1대의 실외기에 여러개(최대5대)를 사용하는 에어컨입니다...
실외기의 핵심인 컴프레셔를 두개를 사용하는 방법인데요...
올해들어서 삼성과 엘지에서 홈멀티에어컨을 가정용으로 선보였습니다...

[5] 시스템 에어컨
용량 가변형 에어컨 이라고 하는데여....실외기 한대에 최고 16대의 실내기를 연결할수있죠~
건물이나 빌딩, 대형 매장이나 사무실, 학교 등에서 사용하는데요...
대부분 천정에 설치하는 카세트형이나 덕트형을 사용합니다....
냉방성능이 우수하고 자리차지를 안하며... 미려한 디자인이 장점인데여...
가격이....비싸져...^0^

세부적으로는 이외에도 가스를 사용하는 GHP와 업소에서 사용하는 중대형 등등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냉방부하계산법과 산출방법을 설명드릴께여....

일반적인 가정용에어컨의 경우 정확한 냉방용량 산출은 집안의 구조, 평수, 창문의 차폐용량,
인원수, 연평균 온도차, 태양열, 조명기구 등의 열량을 산출해야 하는데요....
약식으로 간이냉방부하 산출방법은 아파트의경우 분양평수의 반을...
빌라나 단독주택의경우 실평수의 2/3을 스탠드형에 적용시킵니다...

좀더 적확하게는 실평당 냉방능력을 산출 하는데여...
면적당 냉방부하(kcal/h)는.....155kcal/M 즉 평당 510kcal/h 주택용의경우 360kcal/h 로계산합니다
일반적으로 상가에서 판매할때 사용하는 카다로그상의 평수는...평당 340kcal/h정도를 적용한것입니다

에어컨의 차가운공기는 기류 특성상 무거운 성질때문에 밑으로 가라않는데여....
이때문에 에어컨의 찬바람나오는 입구는 모두 윗부분에 있는거져...
그런데 집구조상 위와 아래가 뚫려 있는 복식 구조는
전체 40평중 반을 차지하는 2층은 15평형의 에어컨을....
전체 면적을 차지하는 1층은 23평형 에어컨을 따로따로 2대를 놓으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따로 관리가 가능하니까....2층같은경우 사람이 없을때 가동을 안해도 돼구요....


 
출처 : 건축설비 SHOP-DWG
글쓴이 : 전정섭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