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정보

[스크랩] 터보냉동기 냉매비교

heatingkim 2011. 12. 20. 16:05

 

 

1.물성치비교

구분

냉매

항목

단위

R-11

R-123

R-134a

화학식

 

CCl3F

C2HCl2F3

CH2FCF3

냉매구분

 

CFC

HCFC

HFC

분자량

kg/kmol

137.37

153

102.03

비등점(1atm기준)

23.78

28.7

-26.5

빙점(1atm기준)

-111

-107

-108

임계온도

198.0

183.8

101.03

임계압력

bar

44.6

37.44

41.35

임계 비체적

cm3/kg

1.806

1.802

1.970

증발잠열

kj/kg

180.3

168.4

-

가연성

-

불연

불연

불연

독성

-

없음

0.0054

없음

오존층파괴지수(ODP)

-

1.0

0.020

0

지구온난화지수(GWP)

-

1.0

0.020

0.26

지구잔존시간(EAL)

59

2

-

COP/COP(R-11기준)

-

1.0

0.98

-

응축기와 증발기 차압

-

1.0

0.98

-

증발압력

(kgf/cm2 abs)

0.4211

0.4211

3.564

응축압력

(kgf/cm2 abs)

1.474

1.474

9.820

압력비

 

3.5

3.5

2.76

냉동효과

(kcal/kg)

34.2

34.2

35.5

비체적

(m3/kg , 5℃ 증기)

-

0.35528

0.05846

1USRT당 소요냉매순환량

(m3/h)

-

88.16

85.18

1USRT당 소요풍량

(kg/h)

-

31.45

4.98

소요헤드

(kg.m/kg)

-

2008

2156

1USRT당 소요입력

(kw/RT)

0.35528

0.73

0.58

 

 

2.R-123/R-134a 비교

냉매 종류

R-123

R-134a

사용압력

 

저압(운전중 증발기의 압력이 대기압이하이다.)

고압(운전중 증발기 압력이 대기압이상이다.)

운전압력
증발기 : -500mmHgG
응축기 : 0.5 ~ 0.9kg/cm2G

 운전압력
증발기 : 2 ~ 4 kg/cm2G
응축기 : 9 ~ 12kg/cm2G

 오존층 파괴지수 (R-11 = 1.0)

0.013 ~ 0.0220
단 ,HFC계열 냉매를 제외하고는 가장 낮은 오존층 파괴 지수를 가지고 있다.

0

 지구 온난화 지수 (R-11 = 1.0)

0.017 ~ 0.02

0.24 ~ 0.29
지구 온난화 지수가 R-123보다 15배 정도 높다

 허가 관계

필요없음

사전 설치허가 要(고압가스 안전과리법 제 14조)

안전 검사

필요 없음

고압가스 안전검사 실시

 기계관리

별도 자격 취득자 불필요

별도 자격 취득자가 필요

 압축방식

원심식 1단 또는 다단

좌동

 구조적 특징

저압냉매를 사용하므로 추기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고압 냉매를 사용하므로 안전밸브 등 별도 안전장치를 부착
。모터를 보호하기 위해 FILTER DRIER를 설치

 장점

 。저압냉매를 사용하므로 안전하고 취급이 용이
。고압가스안전관리법규(한국,일본) 및 ASME Code(미국)에 적용을 안 받음
。별도 자격자와 안전검사가 불필요하므로 인건비의 소용가 적다.
。대기중에 노출되어도 대부분 액체상태를 유지하므로 냉매 추출보관시 별도의 추출저장장치가 불필요.

。 동일 용량의 경우 R-123에 배해 냉동효과가 커서 냉매순환량이 작다.
。비체적이 R-123에 비해 작아서 제품을 소형화 할 수 있다.
。이론 소요 입력이 R-123에 비해 작다.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인 염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규제를 받지 않는다.

 단점

。 이론 소요 이력이 R-134a에 비해 크다.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인 염소를 포함하므로 사용 규제를 받는다.단 , HFC계열 냉매를 제외하고는 가장 낮은 오존층 파괴 지수를 가지고 있다.
。별도의 환기 시설이 필요하다.

。 고압가스 안전관리법규(한국,일본) 및 ASMECode(미국)에 적용을 받는다.
。별도 자격자와 안전검사가 필요.
。대기중에 노출되면 즉시 증발하므로 냉매 추출 보관시 별도의 추출저장장치가 필요하다.
。지구온난화 지수가 R-123 보다 15배 정도 높다.

 

 

 3.규제내용 정리

 CFC-11 및 HFCF-123는 오존층 파괴물질인 염소(Cl)를 포함하고 있어 다음과 같이 모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아래 규제 내용은 "몬트리올 의정서 제 11차 당사국총회(`99.11.29 ~ `99.12.03 , 중국 북경 국제회의 센터)"에서 결정된 사항이며 한국은 5조 1항 국가의 규제 내용을 따르고 있습니다.

 

 1)CFC-11(-12 , -113 , -114 , 115)규제 내용

비 5조 1항 국가

5조 1항 국가

기준 수량

1986년도 생산량

기준수량

1995~97년도 평균생산량

100% 삭감

1996.1.1
단 , 전폐후 기준수량의 15%추가 생산 허용하고 추가생산량에 대한 규제 일정은 없음.

20%삭감

2003.1.1

50%삭감

2005.1.1

85%삭감

2007.1.1

100%삭감

2010.1.1

 

 2)HCFC-123(기타 HCFC 포함)

비 5조 1항 국가

5조 1항 국가

기준수량

1989년 HCFC 소비량 + 1989년 CFC 소비량의 2.8% 와 1989년도 HCFC생산량 + 1989년 CFC생산량의 2.8% 합계의 평균

기준수량

2015년 HCFC 생산량

동결

2004.1.1

동결

2016.1.1

65%삭감

2010.1.1

 

 

 

 

 

 

90%삭감

2015.1.1

99.5% 삭감

2020.1.1
당시 현존하는 냉장 및 에어컨 장비의 AS용으로 한하여 소빌르 제한(기준 수량의 0.5%)

 100%삭감

2030.1.1
단 , 전폐후 개도국의 기본적 수용충족을 위해 기준수량의 15%을 생산할 수 있음

100%삭감

2040.1.1

출처 : 건축설비 SHOP-DWG
글쓴이 : 전정섭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