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고 싶은 음악

[스크랩]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클래식 기타연주) Jim Greeninger

heatingkim 2018. 5. 16. 12:01
-☆더많은 자료 보기☆-



   



타레가는 근대 기타의 아버지로서 현대 기타 발전의 터전을 닦아놓은 은인
이었다. 그는 필연성에 의한 작곡만을 했으므로, 모든 작품이 기타의 명곡으로 
꼽히고 있다. 

알함브라궁전의 회상은 타레가가 그라나다 교외에 있는 알함브라 궁전을 
구경한 후 작곡했다. 제자인 콘차부인과 같이 갔던 그날 밤 그는 깊은 감명을 
받았던 모양인지, 궁전의 아름다움을 트레몰로 주법으로 그려놓았다. 

곡은 전반 가단조와 후반 가장조로 반복된다. 코다에서는 알함브라궁전의 
추억을 인상깊게 새기며 끝난다. 이 곡은 원래 <알함브라풍으로>라고 이름짓고 
<기도>라는 부제를 덧붙여 놓았는데,

출판사에서는 <알함브라궁전의 추억>이라 고쳤다 한다. 

전곡을 은구슬 뿌리듯 관통하고 있는 트레몰로는 매혹적인 이미지를 준다. 
더욱이 우수적인 멜로디는 콘차부인과 실연의 아쉬움을 더해주는 듯한 느낌도 든다.
 

 

          스페인의 영혼을 되살린 타레가

 
프란시스코 타레가(Francisco Tárrega, 1852~1909)는 19세기 후반의 스페인을 대표하는 기타 작곡가이자 20세기적인 의미에 있어서의 현대적인 연주법을 완성한 위대한 연주가이기도 하다. 그는 시대를 대표하는 비르투오소로서 경이적인 테크닉과 낭만적인 연주 스타일 덕분에 일명 ‘기타의 사라사테’로 불리우기도 했는데, 실제로 그는 기타라는 악기를 통해 세계적인 인지도를 한 몸에 받았을 뿐만 아니라 오랜 동안 다른 악기에 밀려 사라질 운명에 놓였던 기타의 가능성을 새롭게 발견해냈다. 특히 그는 신체적인 문제 때문에 생의 마지막 9년 동안은 손톱이 아닌 손끝의 살로만 현을 튕기는 새로운 주법에 매진하기도 했다.

 

한편 작곡가로서 그는 1880년대부터 1903년에 이르는 20여년 동안 베토벤과 쇼팽, 멘델스존, 베르디, 바흐와 같은 거장들의 음악을 기타로 편곡하거나 현대적인 테크닉을 완성하기 위한 연습곡을 작곡하여 이전과는 다른 혁신적인 테크닉과 확장된 표현력, 새로운 음향을 이끌어냈다. 연주가로서 기타 소리를 더욱 맑게 울려퍼지게 하고 풍부한 울림을 이끌어냈던 것이 고스란히 작품에 반영된 타레가의 작품들은, 20세기의 위대한 기타리스트로 칭송받는 나르시소 예페스 의 말대로 동시대 및 후대의 기타 거장들과 현격하게 구분되는 독특한 개성을 지니고 있다.

 

이와 더불어 그의 많은 편곡 작품들 덕분에 기타 레파토리 또한 급격히 넓어지게 되었다는 점 또한 그의 선구자적인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그의 관심은 단순히 악기 자체에 쏠려있지만은 않았다. 그의 친구인 알베니스의 영향으로 스페인의 민속적 요소들을 낭만주의적인 감수성으로 승화시키는 작업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였던 것이다. 그 대표적인 작품으로 ‘호타’와 같은 스페인 고유의 무곡을 주제로 한 많은 기타 작품과 알베니스의 피아노 작품 편곡들을 꼽을 수 있는데,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서 낭만주의 음악의 꽃이라고 말할 수 있는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이 서있다.

 

              

 Sharon Isbin performs Francisco Tarrega's

 "Recuerdos de la Alhambra"

on Korean Television January 2002.

 

 붉은 궁전 알함브라에 드리워진 추억
 

타레가가 발전시킨 트레몰로 주법이 그 신비로움과 애절함을 더하는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은, 그가 그라나다를 방문했을 시 접한 알함브라 궁전을 보고 받은 감동을 기타로 옮긴 것이다. 이 궁전은 에스파냐에 존재했던 마지막 이슬람 왕조인 나스르 왕조의 무하마드 1세 알 갈리브가 13세기 중반에 세우기 시작했으며 증축과 개보수를 거쳐 완성된 것으로서, 현재 남아있는 궁전의 모습은 대부분 14세기에 완성된 것이다.

 

 특유의 인공미는 물론이려니와 자연과의 조화 또한 일품으로서, 그 아름다운 때문에 이슬람 문화의 결정체로 일컬어지는 알함브라 궁전은 그 아름다움만큼이나 비극적인 운명을 지니고 있다. 1492년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그 해, 스페인의 페르난드 2세의 공격을 막지 못한 나스르 왕조의 마지막 왕 보아브딜은 이 궁전을 평화적으로 내어주고 아프리카로 떠난 것이다. 그리하여 스페인은 비로소 근대 국가로의 이행을 걷게 되었지만, 알함브라 궁전에는 이전 800여년 간 내려온 이슬람 문화의 찬연함을 간직한 채 홀로 오롯이 서있게 된 것이다.

 

트레몰로 주법이 자아내는 그 애잔한 분위기와 낭만성 넘치는 멜로디 라인은 이러한 알함브라 궁전의 정서를 가장 잘 표현한 음악으로 평가받고 있는데, 일설에 따르면 작곡가의 개인적인 사건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1896년 타레가는 그의 제자인 콘차 부인을 짝사랑하고 있었는데, 그녀는 타레가의 사랑을 거부했고 실의에 빠진 타레가는 스페인을 여행하면서 이 알함브라 궁전을 접하게 된 것이다. 그는 달빛이 드리워진 이 궁전의 아름다움을 따라 자신의 사랑을 떠올리며 이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을 작곡했다는 전설과도 같은 이야기가 사실이든 아니든, 영화 [킬링 필드]의 주제가로 사용되어 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렸던 이 아름다운 명곡을 들으며 자신의 추억이나 옛사랑을 떠올리지 않는 사람은 아마도 몹시 메마른 가슴을 가진 사람임이 분명하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을 만큼 낭만적인 작품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https://www.google.com/search?q=memories+of+alhambra+palace&espv=2&biw=1209&bih=647&tbm=isch&tbo=u&source=univ&sa=X&ved=0ahUKEwih-oTK5P3LAhUBE2MKHWgyDswQsAQILg&dpr=1  <= 더 많은 이궁전의 사진을 보려면 여기를 클맄하세요.
==========================

대부분의 음악 감상가들은 이 곡을 실연한 사람의 애절한 감정을 잘 표현한 곡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은 줄로 안다.


그러나 이 유샤인은 짝사랑도 해볼 만큼 해본 사람이기에 이 곡을 좀 색다르게 이해한다.  

원래 작곡가가 이 곡을 "알함브라의 풍"이라고 지었고 부제로 "기도"라고 했던 것을 출판사에서 상업적인 판단에서 "알함브라의 추억"이라고 고친 것이라고 알고 있다.

이 유샤인이 이해하기로는 작곡가 '타레가'가 알함브라 궁전의 아름다운 구조와 그 궁정을 짓기까지의 역사며 마지막 모슬렘 왕이 왜 그 궁전을 싸움도 하지 않고 평화로이 내놓고 자신은 아프리카로 홀연히 떠났는가를 명상하면서 그의 마음을 기도하는 자세로 그 궁정을 새롭게 다시 음미하게 되었다고 본다.

그 궁전이 전쟁에서 파괴되는것을 보지않고 원래의 모습 그대로 보전하고 싶었던 마지막 왕의 마음을 그는 그 당시에 그가 느끼던 실연의 감정에서 절실히 공감하게 된게 아닌가 보고싶다. 그 자신도 그 왕과 같이 그 동안 앓아온 실연의 아픔을 이겨 내고 그 궁전의 아름다움을 그토록 사랑한 왕의 뜻을 따라 자기도 자기가 사랑한 여인의 아름다움을 보전해주고 싶은 마음으로, 기도하는 자세로, 자기가 사랑한 아름다운 대상을 찬양하는 마음으로 지어낸 곡이라고 이해하고 싶다.

우리 삶에서 고통은 우리가 현실을 초월하여 더 나은 고차원의 세계로 지향하게끔 창조자는 일부러 우리 인간들이 고통을 겪게 하신다고 그가 적어 주신 책에서 알려 주신다. 이 작곡가도 실연의 아픔을 통해서 저 아름다운 궁전을 보전하기 위해서 평화로이 자기의 왕권을 포기하고 아프리카로 떠난 왕처럼 자기도 자기가 짝사랑한 여인을 위해서 아픔을 견디어 내겠다는 다짐에서 자신이 사랑한 그 대상을 찬양하는 노래로, 자신도 더 고상한 차원의 세계로 지향하겠다는 기도로서 이 노래를 지은 것으로 이해하고 싶다.  -YouShine@youshine.com  유샤인


" Greater love hath no man than this, that a man lay down his life for his friends.
친구들을 위해 자기 목숨을 바치는 것처럼  더 큰  사랑
은 없다."  - 요한복음 John 15:13



아래 동영상에서 보고 들을 수 있는 Juian Bream의 연주는 여지껏 보아 온 중에 이 곡 연주의 극치인것 같다.


출처 : 쉘브르
글쓴이 : 로 즈 *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