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에서의 손실 열량 즉 난방부하(headting load)는 실내의 조건, 외기온도, 벽체의 구조 등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나타내므로 난방 부하는 가장 불리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이에 필요한 난방 장치 용량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방 부하는 냉방 부하에서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는 일사량,실내조명,발열량,재실인원에 따른 발열량 등을 무시하고 계산하여도 난방설비 용량 산정에는 별 영향이 없으므로 냉방부하 보다는 그 계산이 간단한 편이다. |
1. 건물의 손실 열량 | |||||||
|
<표4-24> 건물의 열소실
구 분 |
공기층이 없는 경우 |
공기층이 있는 경우 | ||||||||||||||||||||||||||||||||||||||||||||||
외벽, 지붕, 내벽(간막이벽) |
|
| ||||||||||||||||||||||||||||||||||||||||||||||
흙에 접합 벽, 바닥 |
|
|
(2) 환기(틈새)에 의한 손실 열량
|
|
|
2. 고온수 난방 | |||||||||
|
3. 난방설비의 특징 | |||||||||||||||||||||
|
출처 : 건축설비 SHOP-DWG
글쓴이 : 전정섭 원글보기
메모 :
'현장의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3. 온수 난방의 시공법 (0) | 2011.12.28 |
---|---|
[스크랩] 보일러 사용시 유의사항 (0) | 2011.12.28 |
[스크랩] 지역난방(district heating system) (0) | 2011.12.28 |
[스크랩] 복사 난방 (0) | 2011.12.28 |
[스크랩] 온수난방 (0) | 2011.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