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입lll 시험은 문제 76번 부터 100번까지를 이야기하며 주로 저압 터보냉동의 안전한 취급사항 그리고 주로 수냉식을 다루기에 동파방지및 대량 냉매회수 방법에 대한 질문을 중심으로 하며 1992년이후 여려 종류의 대체냉매 사용을 시도하였으나 누설문제와 냉매의 독성문제, 그리고 공기순환문제 제기에 대한 소음/진동/독성/방음문제등을 문제로 다루기도 하며 많은 오해의 소지를 가지고 있는 퍼징에 대한 요구사항을 문제로 하고 있기도 합니다.
* 해외 공조업계에서 이야기하는 퍼징 (* 진공작업없이 불법적으로 냉매를 대기에 아무 생각없이 분출하는 행위 (* 인터넷 종합 검색 가능 ))을 아직도 별 생각없이 이야기하고 있는것에 보조기사의 자그마한 외침이 해외 미세먼지문제나 오존층 피해및 기타 공해 피해 방지가 도움이 되였으면 합니다.
76) What should be done to reduce refrigerant loss from a purge unit on a CFC-11 chiller?
a) leak test and repair the chiller.
b) seal the purge unit discharge.
c) pipe purge unit back into the low side.
d) pipe purge unit into recovery unit.
76) CFC-11사용 터보냉동/칠러 퍼징유닛으로 부터 누설되는 냉매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
a) 누설검증및 칠러 수리.
b) 퍼징유닛의 토출부분을 막는다.
c) 퍼징유닛 배관을 저압배관에 연결.
d) 퍼징유닛 배관을 냉매회수기에 연결.
* reduce refrigerant loss : 냉매손실을 줄이려고
* purge unit: 퍼징유닛/자동및 수동장치와 타이머등이 콘덴서 위에 설치되여 이물질및 불응축성 물질을 외부/ outdoor로 퇴출시키려고 하는 설치물.
* CFC -11: 많이 사용하던 CFC'S 계통의 냉매는 구성물중의 하나인 염화수소 성분/Chlorine으로 인한 대기상층/성층권의 오존파괴에 지구상에 많은 피해를 준다고 미환경청의 판단으로 미주에서는 수차례 시행착오 끝에 최근에는 R-134a 대체냉매 사용에 90% 교체 과정을 거치고 있기도 합니다.
* 환경오염방지 차원에서 미환경청에서는 누설방지및 수리를 강제하기도 합니다.
77) Leaks testing a low pressure refrigeration system with nitrogen in excess of 10 psig could cause which of the followings to fall ?
a) Condenser tubes.
b) purge unit shells.
c) Evaporator tubes.
d) rupture disc.
77) 저압시스템 냉매누설 검증시에 10파운드를 넘지않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지나칠 경우에 무엇이 작동할까요 ?
a) 콘덴서 튜브.
b) 퍼징유닛 셸/ 열교환기.
c) 기화기 튜브.
d) 고압파괴 디스크.
* R-11혹은 저압냉매 사용시의 안전장치는 주로 가동 저압 압력이 진공상태인 5.0인치 진공에서 사용하며 고압의 압력도 10파운들 넘지 않기에 주로 고압안전 수동복귀 스윗치/ Safety control manual reset가 15파운드에 설정되여 (* 냉각수온도 95도화씨/ 35도섭씨 중심 ), 여러가지 증상으로 지나칠 경우 안전장치로 기화기위에 설치되여 안전 압력/15파운드를 넘어 안전스윗치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열려서/부셔져서/rupture , 일차로 저온상태의 기화기로 혹은 콘덴서로의 통로를 거쳐 고압안전토출 배관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과정의 안전장치를 rupture disc라 부르며 수리비용은 대략 $30,000.00에서 $80,000.00견적이 나오기도 하기에 냉각탑 관리및 관계되는 펌프및 수질관리가 철저하여야 하겟지요.
78) EPA regulations require that all appliances containing more than 50 pounds of refrigerant (* except for commercial and industrial process refrigeration ) be repaired when the leak rate exceed _________% of the charge per year.
a) 0.
b) 15.
c) 25.
d) 35.
78) 미주환경청의 조례에 의하면 내용물이 50파운드를 넘는 경우 (* 상업용 혹은 공업용을 제외하고 ) 일년간의 누설량 비례를 몇 %까지 허용할가요.
a) 0.
b) 15.
c) 25.
d) 35.
** 최근 해외에서도 어렵사리 일년총계 누설허용량및 한계를 정하여 누설수리및 교체등을 조례를 정하여 강제하기도 하며 같은 질문이 되풀이 되여 나오나 질문이 아닌것과 예외조항을 삽입하면 대부분 시험에서 실패하십니다. 문제를 전체적으로 이해할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합니다.
79) R-11 or R-123 system refrigerant removal start with ;
a) Vapor removal.
b) Liquid removal.
c) Vapor and liquid removal.
d) Oil seperation.
79) R-11이나 R-123 시스템 냉매회수는 어디에서 부터 시작하나요.
a) 기체상태로 회수.
b) 액체 상태로 회수.
c) 기체와 액체 상태로 회수.
d) 오일 분리.
* removal: 옮기는것/같은 의미로 옮기는 작업.
* start with: 시작하는.
** 냉매회수는 우선으로 액체상태로 가능한한 많은 량을 회수하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나머지 기체도 미환경청이 요구하는 최근 추세로는 99%이상의 회수를 하여야 하기도 합니다.
(* 본까페 종합 검색 가능. 질문있으세요. 저희 까페에 종합검색란에 질문사항 올리시면 많은 답이 올려져 있읍니다. 보조기사 올림. )
80) How much refrigerant vapor is left in an average 350 tonR-11 chiller at 0 psig pressure once all the R-11 liquid has been removed ?
a) 20 lbs.
b) 100 lbs.
c) 500 lbs.
d) 1000 lbs.
80) R-11 이 들어간 350 톤 용량의 칠러를 0 psig까지 회수하였다 하면 얼마나 기체상태로 남아 있을까요 ?
a) 20 파운드.
b) 100 파운드.
c) 500 파운드.
d) 1000 파운드.
* how much refrigerant vapor left: 기체상태의 냉매가 남아 있나요.
* 대형터보냉동중 저온저압의 공조기 냉매는 쉽게 기화하지 않기에 (* 주로 실내온도에 기화하기 시작 )
액상냉매를 충분히 회수한후에 주변온도/수온을 최대로 올리면서 기체상태의 냉매를 회수하는것을 제품회사 설명서에서도 알수 있읍니다.
81) When removing oil from a low pressure system, the temperature should be 130F/ 54.4 C below:
a) you can warm your hands on the container.
b) less refrigerant will be contained in the oil at the higher temperature.
c) warmer oil has a lower viscosity and flows more easily.
d) It shows that the heater is working.
81) 저압시스템에서 오일을 분리하려면 130도화씨/ 54,4도 섭씨로 뎁혀야 하는 중요한 이유는 ?
a) 통에들어 있는 오일로 손을 뎁힐수 있기 때문.
b) 높은 온도에 오일을 분리하여 적은량의 냉매가 남기때문.
c) 따뜻한 오일은 적은 흐름의 저항을 받기에/쉽게 흐르기에
d) 히타가 가동한다는 이야기.
* removing oil: 오일을 분리하려면.
* container: 탱크, 담는 그릇.
* contained: 함유하는, 포함하는.
* viscosity: 흐름의 저항.
82) A rupture disc on a recovery vessel for low pressure refrigerants relieves at :
a) 5 psig.
b) 10 psig.
c) 15 psig.
d) 20 psig.
82) 저압 저온 공조기 냉매회수기에 설치된 저압 안전변은 몇파운드 압력에 깨질까요 ?
a) 5 파운드.
b) 10 파운드.
c) 15 파운드.
d) 20 파운드.
* rupture disc: 일정한 압력이 지나면 깨져나가는 디스크/탄소혼합물질.
* recovery vessel : 냉매회수기 탱크.
* relieve: 물러나는, 내뱉는.
83) A heater used on a recovery vessel aids in the faster transfer of ________ to the chillers ?
a) Liquid.
b) Vapor.
c) oil.
d) oil/ Liquid mixture.
83) 냉매회수기에 설치된 히타는 무엇을 빠른시간에 회수하려고 하는것일까요.
a) 냉매액.
b) 냉매 기체.
c) 오일.
d) 오일과 냉매액 혼합물.
* 냉매 회수 탱크/외부설치 혹은 내부에 설치하며 히타를 이용하여 냉매의 온도/압력을 올려서 쉽고 짧은 시간에 작업을 하려고 하는 설치이유.
84) How do you determine when enough vapor has entered the refrigeration system before you charge refrigerant liquid ?
a) refrigerant saturation temperature increase to 36 degree F/ 2.2 degree C.
b) recovery unit liquid level drop.
c) Vapor charge for 15 minutes.
d) recovery unit pressure drops.
84) 냉매액상으로 충전하기전에 어떻게 충분히 기체상태의 냉매를 충전하였는지 알수 있는가요 ?
a) 과포화상태의 냉매온도가 36도화씨/ 2.2도섭씨 까지 도달할때까지 기체로.
b) 회수기 액상레벨이 낮을때 까지.
c) 기체상태로 15분 정도 충전 한후.
d) 냉매회수기 압력이 떨어질때 까지.
* determine: 결정하다. 알수있나.
* entered: 충전.
* liquid: 냉매액.
** 저압/저온시스템은 많은것이 수냉식이기이 잘못 충전시에 빠른 속도로 얼어붙는 경우가 있어 주변온도를 높여주도록 하며 속도를 줄여서 사고 방지하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기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새로운 냉매 사용의 변경사항 공지하여 드립니다. (0) | 2018.08.05 |
---|---|
[스크랩] 메뉴얼 (* Copeland Refrigeration Manual: 1 편. ) (0) | 2018.07.28 |
[스크랩] 한글번역 (*제3편; 타입 ll ) 미환경청 냉매취급자격증 시험 연습문제: version 40. (0) | 2018.07.10 |
[스크랩] 타입 ll (* 고압 냉매취급자격증 ) 시험 연습문제 한글번역분 (* 제2편 ) (0) | 2018.07.10 |
[스크랩] 타입 ll 냉매취급자격증 시험 한글 번역 문제 (* version 40.0 ) 제일편. (0) | 2018.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