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정보

[스크랩] 메뉴얼. (* Copeland Refrigeration Manual ) (*4편) 섹션 11 ----

heatingkim 2018. 8. 20. 22:24

* 섹션 11: 악세사리.

냉매 사이클에는 필요에 따른 여러가지 부속품들이 딸려오게 되지요.

* 수액기: Receiver.

@ 수액기는 냉동기가 가동하지 않고있을때 임시로 냉매액을 저장하는 곳이기도 하며 수액기 출구/outlet에는 기체방출 방지 장치/Liquid seal이 설치되여 고압액배관에 기체가 섞여나가지 않도록 하며 필요시에 딥튜브/dip tube가 설치되여 액상의 냉매를 흐르도록 하기도 합니다.

* 열교환기: Heat Exchanger.

@ 열교환기란 온도편차에 의한 물체의 변형을 하려하는 (* 기체를 액체로, 액체를 기체로 바꾸어주는/콘덴서/기화기 등등. )

* 저압 수액기화기: Suction Accumulator.

@ 기화기에서 제대로 소화하지 못한 냉매액이 콤푸로 가게되면 피스톤이나 밸브를 상하게 하므로 (* 공조시스템의 콤푸/응압기/압축기는 기체만 끌여드려 압축하도록 설계되여 있기에 그러한 냉매액이 흘러가지 못하게 콤푸인입 배관에 설치하여 기체만 흘러가도록 되여 있는 부품으로 사시사철 가동하는 공조기에 설치하는 안전장치/Safety equipment라 할수 있으며 힛펌에는 필수 설치 부품이라 할수도 있읍니다.

* 오일 분리기: Oil Seperator.

@ 공조시스템의 중요 윤활부분중에 오일 회수 부분으로 콤푸 앞부분에 설치하여 고압토출부분에 섞여나가는 오일을 분리하여 콤푸 크랭크 부분으로 회수하려고 하는 분리기/배관설치하여 원활한 오일을 소화하도록 합니다.

* 제습기: Dehydrators.

@ 습기가 냉매액에 섞여지게 되면 얼게되여 냉매회전을 방해하거나 불응축성물질로서 압력형성에 방해가 되며 오랜시간 배관내에 존재하게 되면 콤푸모터의 절연체를 분해하여 산화 작용을 하기도 하기에 제습작용을 하는 재료를 사용하여 고압 냉매액 배관/Liquid line에 설치하여 습기를 제거하려고 합니다.

주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타와 겸용하여 배관에 영구적으로 남겨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수시로 교체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 저압 배관 필타: Suction Line Filter.

@ 콤푸 인입배관에 설치하여 기화기에서 생성된 이물질 혹은 고압액배관에서 걸려지지 않은 이물질 혹은 불응축성 물질들을 걸러주는 장치로 콤푸를 보호하려는 필타 장치이기도 합니다.

* 진동/소음방지 장치: Vibration Eliminators.

@ 콤푸의 피스톤 움직임으로 생기는 진동 혹은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고압기체 배관에 설치하거나 필요시에는 콤푸 인입배관및 장배관의 경우 잔동이 발생하는곳에 설치하여 배관에 피해가 오는것을 미리 방지하기로 합니다.

* 스트레이너: Strainers.

@ 냉매배관에 이물질을 걸러주는/strainer 스크린모양의 필타로 주로 인입배관/팽창밸브 인입/ 콤푸인입 저압밸브/각종필타 인입 부분에 설치되여 걸러주려하는 장치.

* 유면계및 수분표시/산성여부 표시: Sight Glass & Moisture Indicator.

@ 유면계/Sight Glass는 고압액배관에 설치하여 냉매의 흐름을 볼수있게 하며 옵션사항으로 유면계 유리 한복판에 산성성분 검증 페인트를 설치하여 색갈변화에 따른 냉매성분을 손쉽게 구별할수 있도록 하기도 합니다.

* Discharge Mufflers.

* Crankcase Heaters.

* Refrigeration Gauges.

*** 아세요 ?

1) 콤푸에 오일이 모자란다면 ?

@ 유면계에 오일이 모자란듯 보인다면 ?

○ 특별히 오일안전 스윗치가 꺼진경우: 9/10 psig 편차.

(* 저압압력과 오일펌프 압력 편차를 검증하여 수동복귀 하거나 옵션에 따른 자동복귀 (?)하돓ㄱ 합니다 )

○ 오일을 첨가하여 주었다 하면 수시로 점검하여 유면계의 1/2을 넘지 않도록 빼주어야 합니다 .

@ 항상 저압/고압을 온도설정에 따른 과열도/과냉도설정을 일정하게 관리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 사시사철 가동시의 일정한 고압유지, 냉매 량의 일정량 유지/누설방지/관리. )

@ 필요시에 수동 펌프다운을 수차례 가동하여 열교환기에서 돌아오지 않는 (?)오일을 강제로 소환하도록 시도하기로 합니다.

2) 냉동 공조기 온도 설정:

@ 고기 저장 쿨러: meat walk in cooler: 화씨 31/33도./섭씨 -0.6/ + 0.6도.

@ 고기 임시 저장 쿨러: meat holding cooler: 화씨 29/31도./ 섭씨 -1.7/ - 0.6도.

@ 고기 자판기: Self service counter: 화씨 31/33도./섭씨 - 0.6도/+ 0.6도.

@ 우유제품 저장 쿨러: dairy walk-in cooler: 화씨 36/38도./섭씨 + 2.2/ +3.3도.

@ 우유제품 자판기 쿨러: 화씨 36/38도./ 섭씨 + 2.2/+ 3.3도.

@ 채소 저장 쿨러: 화씨 38/40도./ 섭씨 + 3.3/+ 4.4도.

@ 채소 자판기 쿨러: 화씨 38/40도./ 섭씨 + 3.3/ + 4.4도.

@ 냉동제품 저장: 화씨 -15/ -10도./섭씨 -26.1/-23.3도.

@ 냉동제품 자판기 : 화씨 -5/ 0 도./ 섭씨 -20.6/-17.8도.

@ 아이스 크림 자판기: 화씨 -15/ -10도./섭씨 -26.1/-23.3도.

@ 고기 갈무리 준비실: meat preparation room: 화씨 54/56도./섭씨 +12.2/+13.3도.

(* Copeland Manual파트 5편. 섹션 10 발췌. )



*** Copeland Refrigeration Manual 을 한글 번역 하여 올려드립니다.

*** 저작권보호에 저촉될수 있기에 허가없이 무단 배포및 복사를 삼가하여 주셔야 할듯 합니다.

출처 : 워싱톤 한인 냉동기술인 협회
글쓴이 : 메릴랜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