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5장
이 장에서는 많은 위인들이 나라와 백성을 위한답시고 여러 가지 정책을 내세워
사람들을 이런 모양 저런 모양으로 달달 볶고 움직이다보니 백성들의 원성은 들끓고
인정은 야박해져 사랑이 없는 세상이 되어버린 것을 한탄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천지불인, 이만물위추구
“천지는 어질지 못해 만물이 풀로 엮은 강아지를 대하듯 하다”라는 말이다.
본 문장의 내용을 살펴보면, 어떻게 천지가 인간의 감정의 하나인 어짊의 성품이 있어서
마치 만물이 풀로 엮은 강아지를 대하듯 무관심하고 소홀하여 어질지 못할 수가 있겠는가!
거기에는 당시 시대적 상황과 백성들의 삶을 속속들이 알고 이해해야만
자연스럽게 표면에 감춰진 진의를 파악할 수 있다 하겠다.
앞부분에서도 설명하였듯이 당시는 춘추전국시대로 나라와 나라 간에 싸움이 끊이지 않고,
백성들은 징병과 노역으로 말할 수 없는 고역과 시달림을 당할 때이다.
바로, 천지는 하늘 아래와 땅위에 사람들이 어질고 자애롭지 못하다는 것이다.
그것이 마치 만물이 “추구를 대하는 것과 같다”라는 것이다.
여기서 추구란, 옛날 중국에 있어서 신에게 제사 지낼 때에
제사상에 형식적으로 올려놓은 제숫물로 제사가 끝나면 길이나 들판에 버려진 것이다.
원래는 산 개를 잡아서 신에게 올렸는데, 세월이 가면서 여러 가지 이유로 해서
형식적으로 짚으로 엮어 개 모양으로 만들어 신에게 제를 올리는 모양만 내고,
제가 끝나면 아무렇지 않게 버려진 것이다.
이러한 백성들의 생활 속에서 벌어진 관습적인 일과 당시의 인간들의 비인도적 처사를 연관지어
날카롭게 비판하는 의도를 담고 있는 것이다.
聖人不仁, 以百姓爲芻狗
성인불인, 이백성위추구
“성인은 불인”하여 백성을 풀강아지처럼 여기도다.
마찬가지로 당시 사람들로부터 추앙받는 성인이라 불리는 사람들조차도
백성을 추구처럼 여기며 어질지 못하다는 것이다.
天地之間, 其猶 乎
천지지간, 기유탁약호
하늘과 땅 사이 인간사는 아마 풀무나 피리와 같지 않을까?
여기서 하늘과 땅 사이는 앞 내용과 좀 다르게 하늘과 땅 사이 온갖 만물을 지시하고 비유하고자 함이다.
그 천지만물의 움직임은 아마 풀무의 움직임과 원리와 유사하지 않을까? 라는 의미로 해석 되겠죠.
풀무라는 것은 바람을 인위적으로 일으키는 도구입니다.
천지간의 세상사가 이처럼 인간들의 인위적 행위에 의해 움직임이 드러나는 행태를 나타내고자 함입니다.
虛而不屈, 動而愈出
허이불굴, 동이유출
즉, 천지 안에 허공이라는 공간은 변하지 않는데, 어떠한 움직임이 있다는 것은
더욱 더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 때 나타나는 것이다. 마치 풀무 안의 공간을 천지간으로 간주해 보자.
예를 들어 공기의 움직임이 일어나는 것은 인위적인 작동에 의해 바람이 거세게 일어나는 것이다.
多言數窮, 不如守中
다언삭궁, 불여수중
말이 많으면 오히려 더욱 궁벽해지므로 흉중에 담아두고 떠벌리지 않음만 못하다는 것이다.
간의 삶도 위정자나 성인이라는 사람들이 나라와 백성을 어떻게 잘 다스려 보겠다고 하나, 도
(道)와는 거리가 먼 부귀영달을 꾀하며 권모술수로 부산을 떠는 가운데 혼란과 불안이 가중되는 꼴이다.
여기까지 문장을 조합해서 정리해 보면,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야박해서 어짊이 없어진 까닭은
위정자나 성인이라 불리는 사람들이 천하를 통일하고 백성들을 안정시킨다는 명분으로 갖은 모양으로 백
성들을 이렇게 저렇게 들었다 놨다 하여 혼란과 불안만 증폭시키는 꼴이 되고 말았다.
결국, 천지간에 어짊을 찾아보려야 볼 수가 없는 형국이 되었다.
그래서 이러저러한 모양으로 말을 많이 하여 백성들을 위한답시고 하지만,
오히려 더욱더 궁지로 몰아넣으니 차라리 말을 아끼고 심중에 담아두고 사는 것만 못한
세상이 되어버렸다는 것이다. 김주호 기자
'좋은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년에게 있어야 할벗 (0) | 2018.08.29 |
---|---|
[스크랩] 오늘 하루는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 보세요 (0) | 2018.08.28 |
[스크랩] 인간관계론의 발전 / 여상환 (김동길 닷컴) (0) | 2018.08.27 |
[스크랩] 실화 노부부이야기 (0) | 2018.08.25 |
[스크랩] 왜 그럴까, 우리는... (0) | 2018.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