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만큼좋은식품도없습니다.
마늘을 삶아 먹으면 항암효과가 3배로 증가한답니다. 마늘은 한국인의 주식이다 전세계 인간이 마늘을 즐겨 먹는다. 그러나 한국인 만큼 즐기지는 않는다. 그런데 이 좋은 마늘을 먹는 방법에 따라서 약효가 다르다고 한다. 마늘성분을 100% 흡수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방법 1 삶아 먹으면 항암효과가 3배나 증가한다고 한다. 그러나 국거리에서 넣어서 삶아 먹어도 좋지만 마늘 성분이 우러난 국물까지 모두 먹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방법 2 깐 토종 마늘을 밥 지을 때 밥솥에 쌀(잡곡)과 함께 넣어서 마늘밥을 해서 먹는 방법이다. 밥솥에 먼저 쌀을 넣어 밥물을 잘 섞어서 먹으면 향도 좋고 입에서 마늘 냄새도 없다. 더 건강해지고 싶으면 밥 지을 때, 마늘 뿐만 아니라 우엉, 당근, 건 표고버섯, 건무청,말린무 등을 첨가하면 암 뿐만 아니라 아토피, 치매, 순환기장애 등에도 좋다. S-알리시스텐인 성분 많아져 마늘은 냄새를 제외하고 100가지 이로움을 준다는 의미에서 '일해백리(一害百利)' 식품으로 불린다. 특히 마늘 속 'S-알리시스테인(S-allyl-cysteine)' 성분은 알리신(allicin)과 알린(alliin) 같은 황화합물 중 하나로, 발암물질 생성을 억제해 항암효과가 크다. 최근엔 혈중 지질농도와 고혈압을 낮춘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됐다. 이런 가운데 마늘 속 S-알리시테인이 삶을 때 더욱 많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황인국 연구팀은 생마늘의 조리방법에 따라 S-알리시스테인 함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험했다 연구팀은 생마늘 100g + 끓는 물(100도)에 1분, 3분, 5분간 데치고 +끓는 물(100도)에 15분, 30분 60분간 삶고 +전자레인지(700w)로 1분, 2분, 3분간 익힌후 S-알리시스테인 성분 함량을 비교했다. 그 결과 삶을 때 S -알리시스테인 함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 -알리시스테인이 제일 많았을 때는 끓은 물에 60분 삶았을 때 ~ 9,16mg/g 생마늘(2,77mg/g)의 4배🌹 30분 삶았을 때 ~ 4,92mg/g 15분 삶았을 때 ~ 3,50mg/g ... 반면 데치고 전자레인지로 돌렸을 땐 S-알리시스텐인 성분이 줄거나 거의 변화가 없었다. 2분간 데쳤을 땐 S-알리시스텐인 성분이 1,85mg/g으로 감소했다. 황인국 연구원은 "마늘은 어떻게 익히느냐에 따라 S-알리시스텐인 성분함량이 달라진다면"며 "국이나 찌개, 반찬을 만들 땐 처음 조리부터 마늘을 넣는 것이 S -알리시스텐인 성분을 좀 더 많이 먹을 수 있다"고 말했다 ❤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가을에 일본뇌염이 더 무서운 이유? (0) | 2018.09.15 |
---|---|
[스크랩] 내 몸에 존재하는 쓰레기통 비우는 법 (0) | 2018.09.15 |
[스크랩] 우리 몸엔 `망간`도 필요하다?(어디에 들어 있지?) (0) | 2018.09.14 |
[스크랩] 이명의 종류 (0) | 2018.09.12 |
[스크랩] ♧계단 오르기 (0) | 2018.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