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의소리

[스크랩] 냉매압축기의 고장 및 대책(2/7)

heatingkim 2011. 9. 25. 14:56
11. 지나치게 큰 용량의 팽창변, 잘못된 팽창변 조정, 감은구의 위치 선정의 잘못및 접촉불량, 균압관의 적절한 위치 선정 등 팽창변 선정에서부터 주변 배관 및 과열도 조정 등이 잘못되었을 경우가 두번째 요인이다.

12. 저온 장치에서 적절한 제상주기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지나친 적상상태는 증발기를 통과하는 풍량을 격감시키고 증발기의 부하를 경감시키게 됨에 따라 팽창변의 헌팅현상발생,증발기 및 증발기 주변의 트립등에 유가 고이게되며 냉매의 유속이 저하되게 된다.

13. 잘못된 배관의 설계나 시공, 적절치 못한 액분리기의 선정 등은 냉매의 제어를 어렵게 하여 압축기에 액냉매를 흘러보내게 된다. 특히 공기냉각 방식의 압축기에서는 신중하게 고려되야 한다. 적절히 설계된 배관이나 액분리기의 선정 및 마른 시공은 압축기가 정상가동되도록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건이다.

14. 운전중 흡입 배관과 압축기 측에 적상이 된다는 것은 매우 좋지 않으며 특히 저온 장치에서는 더더욱 경계해야할 현상이다. 이러한 상태를 막을 수 있는 확실한 단 하나의 방법은 압축기 측 흡입 배관으로 오는 냉매가스의 과열도를 측정하여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15. 압축기의 크랑크 케이스내에 액냉매가 다량 고여 있다가 기동될 때가 있는데 이는 압축기 고장의 가장 흔한 경우이며 이런 상태는 압축기 휴지기간 중에 압축기로 냉매가 유입된다는 증거이므로 그 원인을 찾아 신속히 고장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16. 냉매와 윤활유가 혼합된 경우의 상태 변화를 일기 위해 2개의 실헙관(유리관)에 똑같이 반정도 윤활유를 채우고 한쪽에만 액냉매를 주입하면 서서히 안정되어 포화되면서 층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다. 냉매와 유가 혼합될 경우 유의 온도가 낮을 수록 냉매가스의 압력이 높을수록 유에 흡입되는 냉매량이 많아지며 후레온에서는 냉매가 유보다 비중이 크므로 크랑크 케이스 밑바닥에는 냉매가 고이고 그 위에는 실험한 결과와 겉이 유가 층을 이루어 떠 있게 되어 유면계에서 정확한 유면을 볼 수 없게 된다.

17. 이런상태에서 압축기가 기동을 하게되면 크랑크 케이스가 갑작스런 압력변동으로 액냉매가 증발되면서 다량의 유가 흡입변으로 흡입되어 유햄머가 일어나며 압축기 크랑크 케이스에서는 심한 훠밍 현상을 일으키며 냉매와 유의 혼합물이 거품 상태로써 유펌프에 흡입되어 윤활부위로 흘러가계되는데 이 거품 상태의 냉매유 혼합물은 점도가 극도로 저하되고 가스 증발 현상까지 수반하므로 효과적인 유막을 형성하지 못해 윤활 부위에 마찰열이 발생되게 되므로 피스톤, 롯드, 크랑크 샤후드, 베아링등이 손상 내지는 파손으로 진행되게 된다.

18. 따라서 이렇게 위험한 기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장치 설계자는 가능한한 냉매나 오일 충진량을 필요한 최소량이 되도록 하며 크랑크 케이스 히타를 장착해 유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는 등의 보완책이 강구되야 한다. 특히 동절기 기계실(기계 주변)의 온도가 최하 5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등의 대책이 이우어져야 한다. 단 압축기 주변온도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에는 크랑크 케이스 히타만으로는 위험한 상태를 예방할 수 없다.

19. 크랑크 케이스 히타의 장착만으로는 정지 중 압축기 크랑크 케이스로 냉매액이 흘러들어오는 것을 예방 할 수는 없고, 단지 흘러 들어온 냉매액을 크랑크 케이스가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므로써 냉매가 유에 혼합되지 않고 증발되도록 하는 기능만을 할 뿐이다. 따라서 정지중 크랑크 케이스로 냉매액이 흘러들어오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해서는 장치가 pump down system으로 운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펌프 다운 시스템이란 장치가 운전을 종료하기 시작하면 액관에 설치된 전자변이 먼저 잠기므로 전자변 이후 즉 증발기 입구에서 증발기, 증발기출구에서 압축기에 이르는 흡입 배관즉 저압측에 냉매 가스의 잔류량을 최소로 한 후 압축기가 정지되도록 설계한 것을 말한다.

20. 펌프 다운 시스템이 아닌 전열 제상 장치에서 압축기 정지중 액냉매가 압축기로 흘러들어오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압축기가 어느 정도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전열 제상중 증발기 코일에 가해지는 열로 흡입배관이나 액분리기에 냉매액이 고이게 되고 제상종료 후 압축기 기동시에 압축기로 액이 흘러들어와서 액백현상이 일어나게된다. 만일 압축기 크랑크 케이스내에 다량의 액냉매가 흘러 들어 왔다면 유압 보호 스위치가 작동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압축기 주변이나 압축기 자체의 온도가 낮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유에 혼입되는 냉매량은 증가되므로 문제는 복잡해지게 된다.

출처 : 냉동&공조인의 쉼터
글쓴이 : refcom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