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r Filter의 성능 시험방법
시험법의 적용범위
중량법 효율의 적용범위는 0~95% 이고 95% 이상은 비색법으로 측정합니다.
비색법 효율은 20~95% 까지이고 20%이하는 중량법으로 95% 이상은 계수법으로 측정합니다.
* AFI=Air Filter Institute.(Air Filter 협회) * NBS=National Bureau of Standards.(미국 표준 규격) * ASHRAE=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Engineers.(미국냉동공조협회) * MIL,Std282:Military Standard 282(미국 군 표준사양)
시험방법의 종류
중량법 AFI 또는ASHRAE 규격을 적용하여 시험합니다. AFI 와 ASHRAE 의 특징은 시험장비가 AFI는 수직으로 되어있고 ASHRAE는 수평으로 되어 있으며 분진 공급 장치가 서로 다르다는 점이고 사용분진 조성에서도 미미한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적용대상 분진의 입경은 0.1μm 이상으로 되어 있고 일반 공조용의 외기 및 실내공기중의 부유분진 포집용 에 적용합니다.
시험방법: Filter상류측 으로부터 시험용 Filter를 하류측에 절대 Filter를 설치하여 분진을 공급한 다음 시험용 Filter 와 절대Filter의 중량 차이로 측정하는 것입니다.
즉,υ(%)=(1-w1/w2) x 100 으로 표기됩니다. 여기서 w1=공급된 분진량 (g) w2=절대 Filter가 포집한 분진량(g)인 것입니다.


비색법 적용대상 분진의 입경은 0.1μm 이하로 중고성능용 Filter 또는 정전식 Air Filter와 같이 중량법의 포집효율이 95% 이상 일 때 적용합니다. NBS 와 ASHRAE 규격을 적용하며 양규격 모두 시험장비는 횡형으로 되어 있습니다.
시험방법 : 시험용 Filter를 상류,하류측의 중간에 놓고 분진을 통과 시킨 다음 빛(光)을 투과 시켜서 변색된 상당치를 측정하는 것으로 , υ(%)=(1-c2/c1) x 100 으로 표기됩니다.여기서 c1=상류측 분진 농도 상당치 c2=하류측 분진 농도 상당치 인 것입니다 .


계수법(DOP시험방법) MIL,Std-282에서 규정하였고 중량법,비색법 에서는 포집율이 100% 가 되면 미립자에 대한 높은 포집율의 계산은 불가능합니다. DOP(Di-octyl-phtalate ) 에어로졸을 제네레이터 용기에 넣고 열을 가하게 됩니다. 에어로졸은 증기화되고 이증기(DOP증기)는 가열된 기류 속으로 주입되고 혼합실로 보내지게 됩니다. 혼합실에서 DOP증기를 동반한 이 가열공기는 실내온도 정도의 찬기류와 혼합되고 이것은 증기를 아주 작은 응축액으로 액화 시킵니다. 여기서 이물방울의 크기는 혼합온도에 의해 조절되며 DOP법에 있어 미립자의 크기는 0.3㎛를 만들도록 통제합니다. 이들 미립자는 시험필터 상류쪽 기류 속에 주입되고 시험 중인 필터의 입구,출구측 농도는 빛확산 장치에 의해 측정 됩니다. 사실상 DOP 방법은 미립자수에 의거하여 시험Filter 입,출구 쪽 미립자 농도를 비교하는 것으로 계수법 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효율 υ(%)=(1-c2/c1) x 100 c1=상류측 분진 농도 상당치 c2=하류측 분진 농도 상당치

사람의 눈으로 식별이 가능한 입경은 10㎛ 이고 사람의 머리카락의 굵기는 대략 100㎛입니다.

Air Filter의 난연성 시험방법 Air Filter의 난연성 시험은 조진용 Filter(Pre Filter) 여재의 대부분이 Polyester(일부Nylon)를 주원료로 하는 부직포 이기에 난연성시험에 대해서도 무시할 수 없는 Air Filter의 기준 시험방법중 하나이다.
Air Filter의 난연성 시험은 국내 대부분의 업체에서 거의 무시하고 부직포 제조회사의 Inform을 받고 있는 실정으로 시험법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 지면 현장에서도 계략적으로 난연성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Air Filter의 난연성 시험에 대해 JIS-1091의 A-1법,A-2법을 찾아 보면은 시험편을 시험장비 내에 45o 각도로 설치하고 버너에 불을 붙이고 일정시간 (A-1법:착화후 3초,A-2법:착화후6초) 이 경과 하고 난 다음 탄화면적, 탄화 거리측정 등으로 난연성 여부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A-1법(마이크로버너)은 중량 450g/㎡이하의 섬유에 적용하며 A-2 법 (멧켈버너)은 450g/㎡이상의 섬유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부직포 Filter는 450g/㎡이하에 해당되니 A-1법이 적용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