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A.B 개요
1-1 일반 개요
T.A.B란 공기 조화설비에 대한 종합시험조정으로 (TESTING, ADJUSTING & BALNCING)시
험, 조정 및 균형이라는 뜻이다. 이 기술기준은 ASHRAE SYSTEM HANDBOOK, SMACNA,
AABC, NEBB등 미국의 학술 단체, 협회들이 발표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국내의 T.A.B기술
기준을, 1988년에 발행한 사단법인 공기조화 냉동 공학회 " 공기조화 설비의 T.A.B기술
기준"에 준하고 있다. T.A.B의 최종목적은 건물내의 냉•난방설비에 대한 에너지사용 실
태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에너지의 흐름을 효울적으로 유도하고 저정하므로써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억제하여 부하 변동에 따른 최적의 설계치를 갖도록 모든 열원 장비
및 장치류들을 점검•조정하여 거주 공간에 대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목적을 둔
공조설비의 한 분야이다.
우리나라에 공기조화설비 기술이 도입•적용된지도 4반세기에 이른다. 그동안 공기조화
설비 기술도 꾸준한 발전을 이룩하여 도입 초기 단계에는 전혀 고려되지 않았던 공조공
간의 쾌적성 및 소음 방지 대책등의 문제가 최근에 와서는 주요사항으로 대두되기에 이
르렀다. 따라서, 공조설비에 T.A.B실행을 표준화로 정착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국
내 학계 및 연구기관에서 공조설비에 대한 연구 및 T.A.B용역 업체의 기술축적등 이부분
에 발전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1-2 T.A.B의 업무내용
가. 업무내용
T.A.B업무수행은 공기조화설비 전반에 관하여 시스템 검노, 공기•물분배 계통, 자동제
어 계통, 소음 측정 및 마무리 작업으로 구분하며 설계단계에서 부터 T.A.B고유사항을
반영토록 하여야 하고 공사진행 상태 점검 및 보완을 하므로써 완벽한 작업 수행이 가능
하도록 하여야 한다. 업무내용 FLOW CHART는 아래와 같다.
<업무내용 FLOW CHART>
나. 수행 항목
대상설비에 관한 공기조화설비의 T.A.B를 수행할때 필요한 포괄적인 수행항목은 다음과
같아. 작업진행 순서는 나열된 항목의 순서에 의한다. 다음에 열거된 각 항목증 공기분
배 시스템, 물분배 시스템 및 소음 측적에 대한 업무수행은 개별 수행이 가능하다.
1) 시스템 검토
모든 공기조화 설비에 관련되는 석계도면, 설계계산서 및 설계에 참고된 자료를 활용하
여 T.A.B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공기조화 설비를 검토하고 미비점을 관련자가 보완
하도록 한다.
2) 예비보고서 작성
설계도면 및 관련 자료를 검토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T.A.B보고서 양식에 각시스템별 계
통도 및 각 장비 사양등을 작성하여, T.A.B 작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보고서는 시스템 검토 및 현장 점검시 아주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3) 현장 점검
T.A.B를 실시하기 전에 각시스템이 시공도면 및 장비 제작사양에 나타난 사항과 일치하
는지의 여부와 시공 상태가 설치 시방서 및 일반기계 설치 기준에 부합되는지의 여부를
확인•점검한다.
4) 전원점검
전력이 공그보디는 공기조화 장비에 있어서 모터등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적절히
공급되고 있는가를 시험하여 전기기계의 정격용량과 시험치를 대조•확인한다.
이상이 있을때에는 보완되도록 해당회사에 통보한다.
5) 공기분배 시스템 시험 조정
상기 나. 1)~4) 항의 모든 작업이 완료되고 건축 시공이 완료되면 해당 공조용팬을 가동
시킨후 풍량을 측정하여 각 메인에서의 풍량을 측정•조정한다. 본작업을 수행하면서 발
생되는 설계및 시공상의 문제는 그 즉시 담당자와 협의하여 수정하도록 하여 실내의 상
태가 최적 조건이 유지되도록 한다.
6) 물분배 시스템 시험 조정
공기 분배계통의 T.A.B작업이 완료되면 펌프를 가동시켜 펌프에서의 유량 및 압력을 측
정하고, 각분기와 터미널에서의 유량 및 ㅁ\압력을 측정하여 설계치에 맞도록 조정한다.
유량 자동조절 밸브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우선 수동 밸브를 이용하여 최대 유량으
로 맞추어 놓은 후, 유량을 센서에 의하여 자동조절 밸브의 작동 범위로 확인 조절해 놓
는다.
7) 자동 제어 계통점검
외기 상태의 변화와 실내 조건의 변경에 적절히 대응될수 있는 제어 기능을 갖춘 자동조
절 시스템인지를 파악하고, 설계의도에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는가를 점검한다.
8) 온•습도 조정
하정기에는 냉동기가 동절기에는 보일러가 가동되면 실내에 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실내
온•습가 적절히 유지되도록 점검•조정한다.
9) 소음 측정
장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하는 것으로 장비의 가동시와 정지시로 나누어 측정한
다. 측정장소는 장비가 설치된 인접위치 및 장비와 연결된 덕트가 가장 짧은 실내, 그리
고 극히 정숙을 요하는 위치이다.
10) 종합보고서 작성
본 보고서의 구성은 첨부된 부록의 T.A.B측정기록지에 명시한 바와같이 상기 나. 1)~9)
항의 전항목 및 기타 결과 분석 사항이 포함된다. 여기에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전항목
이 상세하고 일목요연하게 정리되게 하여 향후, 건물 운전관리시 긴요요한 문헌이 되도
록 한다.
1-3. 용어의 뜻
본기술기준에 사용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가. 시험(TESTING)
장비의 양적인 성능시험 작업
나.조정(ADJUSTING)
터미널 기구에서의 풍량 및 유량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작업
다. 바란싱(BALANCING)
석계치에 따른 각 분배 계통내(서브메인, 분기 및 터미널)에서의 풍량 및 유량을 균등
하게 배분시키는 작업
라. 공정 (PROCDECURE)
재현성 있는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운전상 작업의 표준화 방법과 순서의 집행
마. 터미널 (TEMINAL)
조절된 유체가 분배계통을 따라 들어가거나 나오는 기수
바. 메 인 (MAIN)
시스템의 주된 또는 전체유량이 흐르는 덕트 및 파이프
사. 서브메인(SUBMAIN)
시스템 용량의 일부 또는 두개이상의 분기 메인과 연결된 덕트 또는 파이프
아. 분기 메인(BRANCH MAIN)
두개이상의 터미널이 연결된 덕트 또는 파이프
자. 분기(BRANCH)
한개의 터미널이 연결된 덕트 또는 파이프
차. 팬정압(FAN STATIC PRESSURE)
팬전압과 팬동압의 차이
카. 팬전압(FAN TOTAL PRESSURE)
팬 출구 전압과 팬 흡입 전압과의 차이
타. 팬동압(FAN VELOCITY PRESSURE)
팬을 통하여 나가는 공기의 평균속도에 의하여 환산되는 압력
1) 공사관정의 품질향상
국내 건설 실정이 많은 기술발전이 있어 왔으며, 선진국 이상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건설
에 종사하는 많으 사람들은 노력하고있다. 특히 설비 부분에 T.A.B기술자는 현장의 공정
별 시공상태를 점검하여 불합리한 부분을 개선하여 향후 T.A.B작업 미 시스템 운영에 합
리적인 운전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시공측면에서 품질향상의 효과도 얻고
있다.
2)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
공조설비 시스템에 설치 시공된 설비기기의 적절한 용량과 소음•진동등이 설계자의 의
도대로 시행되어 있는지, 또한 열원분배는 적절하게 바란싱되어 있는지를 시험•조정하
여 각실별 용도에 적합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며 재실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
다.
3) 불필요한 열원손실 제거
공기 조화 설비의 열 반송 매체인 공기와 물에 대한 이송량을 측정•조사 설계치와 비
교•분석하고 누수•누기 요인을 점검하여 손실을 배재한다. 또한 설계치대로 조정하고
균형을 이루게 하여 과다분배로 인한 불필요한 손실 열원을 제거 할 수 있다.
4) 운전비용 절감
실내의 온•습도 및 공기 분포 상태를 균형있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설비기기를 과다하
게 운전하는 현상을 T.A.B 과정ㅇ르 통해 해결하여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5) 공조설비 수명 연장
공조설비기기의 과부하 운전 및 불안전한 운전을 T.A.B과정을 통해 적정상태로 운전 및
유지가 되어지면 공조설비 기기의 수명 단축 및 개•보수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6) 효율적인 시설관리
공조설비의 각종 시스템에 대하여 T.A.B를 실시하면 가가의 기기 및 종합적인 시스템의
용량•효율•성능•작동상태 운전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사항에 대해 종합적인 자료를 작
성하므로서 시설물 유지 관리업무에 많은 도음과 경제성 및 합리적인 시설관리가 가능하
게 된다.
1-4 T.A.B 필요성
각종 건물 내에서 사용하는 공조에너지의 사용량이 다른 에너지 사용량에 비해 비중이
큰데도, 소홀히 취급하므로써 공조설비 시스템 불안정 및 비효율적인 운전으로 경제적이
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 할 수 없다. 따라서 T.A.B를 실시하므로써 공조설비의 효
율 증대 및 경제적 운전으로 에너지 낭비를억제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
다. T.A.B실시에 따른 이점은 다음과 같다.
가. T.A.B 시행 이점
1) 설비 초기 투자비 절감
신축 건물의 공사발주시 T.A.B 용역을 초기단계에서 부터 실행하면 설계도서상의 오류
를 수정토록하며 시스템 및 기기 용량을 확인하여 부적절한 설계부분을 재조정할 수 있
도록 발주자에게 제공하여 정확한 장비 발주 및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2). T.A.B 수행절차
2-1. 예비절차(PRELIMINARY PROCEDURES)
예비절차는 다음 각항에 따른다.
가. 공기 분배시스템
1) 자료수집(PROCUREMENT DATA)
가) 팬 성능 곡선과 기술 사양서 : 송풍기, 공기 조화기
나) 냉각코일과 가열쿄일의 성능 데이타
다) 팬 모터의 명판(NAME PLATE) 표시 사양
라) 기동기의 크기, 위치 및 열 과부하 방지 범위
마) 벨트 및 구동부 자료
바) 제작사가 제공하는 터메널 시험 방법(예 : 유효면적)
사) 공기 조화기에 관한 제작사의 자료와 시험요령
아) 공지 순환 계통의 압력 강하(필터, 코일 등)
자) 자동 제어 계통도
차) 장비 및 기기의 자료
2) 시스템 도면작성(SYSTEM SCHEMATIC DRAWINGS)
각시스템에 대한 흐름도를 작성하여 다음 사항들을 표시한다.
가) 모든 댐퍼, 조정기 및 터미널의 입•출구 표시
나) 메인과 서브메인의 크기 및 풍량 표시
다) 외기, 환기 및 배기를 포함하여 모든 터미널 입•출구의 크기와 풍량 표시
라)설치 도중에 설계변경 사양을표시
마) 모든 터미널 번호 부여
바) 온도감지기의 위치표시
3)자료 및 시스템 검토
공기 분배의 자료 및 시스템의 검토하여 다음 사항을 파악한다.
가) 시스템을 바란싱하는데 수행될 모든 단계(온도제어 및 관련 물측 시스템의 검토
포함)
나) 필요한 측정계기
다) 필요한 보고서 양식
라) 덕트에서의 측정 위치
마)시스템을 정지하거나 시스템의 공기량을 변화시킬수 있는 장치와 위치와 기능
바) 팬용량과 터미널의 전체 공기량 비교
사) 불균형의 원인이 되는 시스템
아) 분기와 수직 덕트에서 풍량 조절장치의 누락여부
자) 필터에 관한 필요사항
차) 작업진행 계획과 관련된 바란싱을 위한 시스템 이용 가능일자
카) 다른 시공자의 작업과 중보여부
타) 시스템 바란싱의 순서
파) 외기 온도와 고도에 따른 보정 필요 여부
4) 측정계기 선정
필요한 계기와 교정자료를 구하고, 측정에서 사용되는 전계기의 목록을 작성한다. 단,
같은 계기가 두가지 이상 사용되면 각각 비교하여 계기 눈금의 편차가 ±5%를 넘지 않도
록 보정한다.
나. 물분배 시스템
1)자료수집
가)펌프 성능 곡선과 펌프 기술사양서
나) 장비의 기술자료
다) 모터의 명판 사양
라) 자동제어 계통도와 제어밸브 성능
마) 특수배관 및 제어 밸브성능
바) 시스템에서의 압력, 온도 및 안전밸브의 정격치와 설정치
사) 유량, 온도 및 압력등에 관한 자동 기록계의 성능
아)밸브 조정을 위한 조치 및 방법
자) 시스템에 부착된 계기류에 관한 자료
2) 시스템 도면 작성
각 시스템별흐름도를 작성하며 특히 1차측과 2차측 배관계통의 연결부를 일치시킨다. 모
든 수동 밸브, 자동밸브, 유량계, 공기배출기, 코일 , 팽창탱ㅋ, 보충수연결배관, 안전
밸브 및 계기류 연결등을 표시한다.
설계유량, 개략적인 시스템 압력주요지점의 온도를 표시하고 설계변경사항을 기록한다.
3) 자료 및 시스템 검토
물분배의 자료 및 시스템을 검토하여 다음 사항들을 파악한다.
가) 시스템을 바란싱 하는데 수행될 모든 단계
나) 필요한 측정 계기
다) 필요한 보고서 양식
라) 배관에서의 측정 위치
마) 시스템을 정지하거나 순환하고 있는 유량ㅇ르 변화시킬수 있는 장치의 위치와기능
바) 펌프 용량과 터미널의 전체 유량 비교
사) 불균형의 원인이 되는 시스템
아) 스트레이너 위치
자) 물 시스템과 보충수 계통에 대한 공기제거 장치
차) 작업진행 계획과 관련된 바란싱을 위한 시스템 이용가능일자
카) 다른시공자의 작업과 중복 여부
타)시스템 바란싱의 순서
파) 외기 온도와 고도에 따른 보정 핑요 여부
4) 측정계기 선정
필요한 계기와 교정나료를 구하고, 측정에서 사용되는 전 계기의 목록을 작성한다. 단,
같은 종류의 계기가 두가지 이상 사용되면 각각 비교하여 계기눈금의 편차는 ±5%를 넘
지않도록 한다.
2-2 장비 및 시스템 검토
시공자는 T.A.B 작업 수행전에 장비와 시스템을 완전히 설치하여 작동이 가능하도록하
며, T.A.B용역 수행자는 측정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다음사항을 검토한다.
가. 공기분배 시스템
1)장비검사
가)팬
아래사항을 검사 및 확인한다.
① 검사 및 확인
a. 베어링의 윤활유 주입상태
b. 벨트장력
c. 휠과 하우징의 간격
d. 모터 고정 상태
e. 굳동체의 키박음과 조정나사 죄임
f. 청정도
g. 방진 시스템의 조정
h. 정압 제어 장치
i. 벨트 보호덮개 부착 여부
j. 모터 풀리와 팬풀리의 정렬 상태(alignment)
② 전원계통을 확인한다.
③ 팬에 연결된 덕트의 상태를 검사한다.
④ 옥상에 설치된 장비의 공기 빌봉 상태를 확인한다.
나) 공기조화기
① 검사 및 확인은 팬의 경우에 따른다.
② 외기 및 환기 도입부에서 급기팬 출구 까지의 공기 흐름 상태를 검사한다.
③ 필터의 상태를 점검한다.
④ 코일, 필터 및 댐퍼에서의 공기누설을 검사한다.
⑤ 응축수 제거 장치를 확인한다.
2) 덕트 시스템 검사
덕트 시스템 검사에서는 아래의 사항을 검사 및 확인하다.
가) 모든 외기댐퍼, 환기댐퍼 및 배기댐퍼의 작동 상태
나) 풍량조절 댐퍼와 바오하 댐퍼가 완전 개방 위치에 놓여져 있는지 여부
다) 점검문 누설 및 조임 상태
라) 터미널의 설치 및 터미널 댐퍼의 완전 개방 여부
마) 피토튜브의 측정 위치
바) 천정 구조물의 견고성 여부
사) 실내 건축 구조가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지 여부
아) 터닝 베인 및 덕트연결부의 제작공법 적합 여부
나. 물 분배 시스템
1) 장비 검사
가)펌프
아래사항을 검사 및 확인한다.
① 펌프 설치의 기초 및 커프링 연결 상태
② 펌프 케이싱의 공기 배출
③ 방진 시스템 상태
④ 펌프와 코터의 윤활유 주입 상태
⑤ 펌프의 회전 방향
나) 터보냉동기
제작자가 시운전 및 검사를 수행할시 용역 수행자는 입회하여 그 상태를 확인한다.
다) 왕보동식 냉동기
터보 냉동기 나) 항을 준한다.
라) 열교환기
수량과 온도 측정을 위한 배관설비를 확인하고, 아울러 밸브의 개방 상태를 확인한다.
마) 코일
코일의 배열이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지 검사한다. 그리고 배관 계통은 열교환기 항을 준
한다.
바)보일러
터보 냉동기 항을 준한다.
2) 배관 시스템 검사
가) 설계 사양에 적정하게 수압 시험되고 물채움, 세척 및 공기 빼기가 되었는지 확인한
다.
나) 스트레이너가 청소되어어 있는지 확인한다.
다) 모든 밸브의 개폐상태가 절정한지 확인한다.
라)팽창 탱크의 수위를 검사한다.
2-3. 시험 절차
시험절차는 다음 각 항에서 정한대로 실시한다.
가. 공기분배시스템
1) 일반사항
가) 장비 및 시스템 검토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나) 공기순환이 정상적으로 되도록 칸막이, 문, 창문등 건축 구조물이 제대로 설치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다) 급기, 배기 및 환기 시스템이 설계사양대로 작동되는지확인한다.
라) 냉방시를 기준하여 시스템 조건이 공기 흐름의 최대 상태가 유지 되었는지를 확인한
다.
마) 시스템에서 자동제어 기기들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한다.
바) 급기팬, 배기팬 및 환기팬의 연동관계를 재확인한다.
사) 팬 풍량과 설계회전수가 제대로 나오는지 확인한다.
2) 급기 시스템
가) 피토튜브 이송법을 이용하여 메인 및 서브메인의 공기분배 상태를 확인한다.
나) 메인 및 서브메인의 풍량조절 댐퍼를 조정하여 개략적인 풍량을 맞춘다.
다) 터미널 기기를 조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스템의 각 터미널의 공기 흐름을 측정하
여 각터미널의 공기 흐름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또한 기본 조건을 조사하여 터미널 기
기 풍량을 정하며, 분기바란싱의 순서를 계획한다.
라)최고 용량 분기에서 최저 용량 분기까지 측정하여 각 분기를 다음과 같이 조정한다.
① 분기 연결부에서 가장 먼 터미널에서 시작하여 분기 연결지점쪽으로 진행하여 각 터
미널의 풍량을 조정한다.
② 특수 측정계기의 사용을 위하여 제작자가 제공한 적절한 보정계수(k)를 사용한다.
마)시스템이 바란싱 될때까지 조정을 되풀이 한다.
바) 팬 풍량과 작동 상태를 필요에 따라 재조정한다.
사) 급기 시스템이 건식 코일 표면에서 시험되었을때 제습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면 풍
량은 습식 코일 조건에서 검사되어야 한다.
아) 급기, 배기 및 환기 시스템이 바라싱 된 후 급기팬의 풍량이 100% 외기조건의 시스
템으로 설계가 고려고려되었는지 확인한다.
자) 필요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3) 배기시스템
일반사항 및 급기 시스템에 준하여 시행한다.
4) 환기시스템
환기 시스템과연관된 급기 시스템이 조정되고,난후, 환기 덕트의 댐퍼가 닫히고 상호연
결된 배기 덕트 댐퍼가 열러서 환기팬의 정압, 풍량을 다시 측정하여야 할 경우를 제외
하고는 급기 시스템의 절차를 따른다.
나. 물분배 시스템
1)일반사항
가)장비 및 시스템 검토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나) 필요한 전기 배선, 온도 제어, 유체회로가 기능을 발휘하는지 그로고 계절을 고려
한 필요 보정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한다.
다) 배관 및 스트레이너가 세척되고 충수 되었는지 확인한다.
라) 수동 밸브와 자동 밸브가 요구대로 개방되거나 조정되었는지 확인한다.
바) 장비를 작동시킨후 시스템내의 공기를 제거하여 유동상태를 일정한게 유지시킨다.
사)우전전압과 전류를 기록하고 며안의 정격치와 비교한다.
아) 펌프의 회전수를 기록한다.
자) 펌프 운전과 함께 펌프 토출 계통의 바란싱 코크를 천천히 잠그면서 펌프에 부착된
게이지의 토출 및 흡입 압력을 읽는다.
차압 측정용 게이지는 하나를 사용하도록 하고 두개의 게이지를 사용하게 될 때는 게이
지의 눈금을 교정하여 사용한다.
차)토출측 바란싱 코크를 완전개방 위치까지 천천히 열고 토출 압력, 흡입압력과 전헤드
를 기록하며 전헤드를 사용하며"자)"에서 설정한 교정된 펌프 성능 곡선에서 유량을 측
정한다. 전헤드가 설계치보다 낟으면 유량은 선정된 정격치보다 많아질 것이다. 어느경
우든 개략 설계치의 110%가 될때까지 바란싱 코크를 닫아서 펌프 토출 압력을 증가시켜
야 하낟. 그때 압력과 유량을 기록하고 펌프모터의 전류치를 검사해서 기록하되 전류치
는 모터 평판 정격치 이내이어야 한다.
카) 장비(냉동기, 열교환기, 코일등)의 바란싱 코크를조정하기하기 전에 모든 장비의 압
력 강하치를 측정하고 제출된 자료와 비교•검토한다.
타) 유량이 많은 유닛의 바란싱 코크에서 예비조정을 실시해서 설계유량보다 10%이상 많
도록 조정한다.
파) 펌프시스템에 대하여 압력과 전류를 다시 조정한다.
펌프의 전 유량이 설계수량보다 덜어지면 바런싱 코크와 펌프 토출측을 열어서 유량을
설계치의 105~ 110% 범위내로 유지시킨다.
하) 설계유량 이하인 유닛에서 유량을 증가시키기위하여 설계유량보다 10% 이상되는 모
든 유닛의 바란싱 코크를 재조정한다.
거) 실제의 각 장치 유량이 설계치의 +10%이내가 될때까지 이과정을 반복한다.
너) 오리피스란, 벤츄리관 및 다른 유량 측정 또는 제어기기가 회로상에 도입되었다면
시스템을 통한 유량 분배의 최초 측정치는 조정없이 기록한다. 시스템을 검토하고 나서
분배분기나 입상관을 조정하여 평형 회로를 만든 후 각 분기에 있는 터미널도 함께 진행
한다.
더) 펌프와 장비의 압력 및 펌프 모터의 전류치를 최종적으로 점검하고 기록한다.
러) 3방밸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이패스 계통의 바란싱 코크를 조정해서 코일, 열교
환기, 다른 터미널의 최대 요구량의 ±90%로 바이패스 유량을 제한시킨다.
머) 바란싱이 완료되고 시스템이 설계유량의 ±10% 이내에서 작동되면 모든 바란싱 코
크, 게이지, 온도계를 최종 조정 지점에 표시를 한다.
버) 모든 유량, 안전, 폐쇄 및 제어 작동을 확인한다.
서)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2) 냉수 및 온수 계통
가) 냉동기, 코일,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량의 측정은 제작자가 보증하는 압력학하선도
에 따르거나, 더욱 정확하게는 자동제어 밸브, 유량 감지기 또는 시험기기의 압력강하
특성에 따라 시행한다.
나) 모든 팬, 코일을 작동 상태로 두고 코일 통과 공기량을 맞추고 나서 냉동기, 열교환
기 및 쿄일의 입•출구 수온을 측정하여 기록하고 설계조건과 비교한다.
다) 코일이 여러구획일때 각 코일을 통과하는 적정 유량의 압력강하를 설정하여 가 코일
을 통과하는 유량을 바란싱 시킨다.
수온을 측정하여 여러 구획을 바란싱하는 방법도 있는데 정확도가 낮다. 표면온도계는
삽입식 온도계를 사용해서 수온을 측정하고 일정수온이 얻어질때까지 바란싱 코크를 조
절한다.
라) 상기 공정을 완성한후 자료를 기록하고 보고서를 작성한다.
다. 소음
건물의 구조와 그것이 점유하는 공간에서는 장치가 만족할 정도운전되고 있는것을 보증
하기 위하여 소음 시험을 할 필요가 있다. 소음 수준의 측정은 선택된 방 또는 지역에
대하여 운전하지 않을때늬 시스템 전체 소음과 비교하여 운전시 시스템의 전체적인 임
의 소음도를 설정해햐 한다. 암소음이상을 증가하는 시스템은 A및 C 스케일에 의하여
(dB)로 기록하며 소음 측정은 아래의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1) 소음 계측기는 각기 사전에 보정한다.
2) 조정자는 상관없는 장애 요소 또는 외부 소음이 기록되지 않도록 시험자를 제외한 모
든 사람이 없는 상태로 측정한다.
3) 시험자는 모든 창문이나 문을 닫은 상태에서 측정하낟.
4) 측정 공간내에는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실내 흡입 조건에 영향을 주는 모든 집기
류(커튼, 가구, 카페트)등이 설치되어야 한다.
5) 시험은 실내에 사람이 없고 외부 소음 레벨이 최대가 아닐때 수행한다.
6) 소음계는 음원과 마이크로폰간의 직선상에 방해물이 없도록 하고 똑바로 서서 측정한
다.
7) 측정시 계기 제조회사의 권장에 따라서 바닥면 1.5미터 위치에서 측정한다.
(디퓨져중에서 45。저도 각도의 선상 바닥위 1.5미터 장도에서 측정하며, 기계실에서는
기계에서 1미터 떨어진 지상 1.5미터 위치에서 측정한다.)
8) 소음 측정은 장비 운전시와 정지시로 구분하여 수행한다.
출처 : 건축설비 SHOP-DWG
글쓴이 : 전정섭 원글보기
메모 :
'기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냉동-2 (0) | 2011.12.02 |
---|---|
[스크랩] 공기 조화 설비 시공법 (0) | 2011.12.02 |
[스크랩] 습공기선도 공조냉동 (0) | 2011.12.02 |
[스크랩] [본문스크랩] 에어필터의 성능시험방법 (0) | 2011.12.02 |
[스크랩] 에어컨설치시 에어퍼지및 진공방법 (0) | 2011.12.02 |